유류오염부지의 발암 및 비발암 위해도 저감에 소요되는 정화비용 예측 연구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 시범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물질 위해성평가지침』에 따라 발암 위해도와 비발암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오염부지 내 토양섭취, 토양접촉, 지하수섭취, 비산먼지 흡입, 실외공기 휘발물질 흡입 등 5개 노출경로에 대해 발암 위해도와 비발암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설정된 시나리오의 위해성평가 결과 발암 위해도지수는 1.18E-3, 비발암 위해도 지수 5.36으로 위해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범부지에 Soil vapor extraction (SVE), Bioremediation, Therm...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1; no. 5; pp. 286 - 29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05.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5.286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 시범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물질 위해성평가지침』에 따라 발암 위해도와 비발암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오염부지 내 토양섭취, 토양접촉, 지하수섭취, 비산먼지 흡입, 실외공기 휘발물질 흡입 등 5개 노출경로에 대해 발암 위해도와 비발암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설정된 시나리오의 위해성평가 결과 발암 위해도지수는 1.18E-3, 비발암 위해도 지수 5.36으로 위해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범부지에 Soil vapor extraction (SVE), Bioremediation, Thermal desorption 등 세 가지 정화기술을 적용하여 발암 위해도 및 비발암 위해도를 저감시킬 경우 소요되는 정화비용을 각각 예측해 보았다. 정화비용 자료는 우리나라 자료가 유효하지 않아 USEPA에서 구축한 미국 정화비용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범부지 내 발암 위해도 저감에 따른 정화비용 예측 결과 초기 발암 위해도 1.18E-3를 1.0E-5까지 낮추는데 소요되는 정화비용은 SVE 75만불, 열탈착은 71만불, 생물학적공법은 42만불로 예측되었다. 비발암 위해도 저감에 따른 정화비용예측 결과 초기 비발암 위해도 5.36를 1.00까지 낮추는데 소요되는 정화비용은 SVE 60만불, 열탈착 28만불, 생물학적공법 16 만불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가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차후 위해도와 정화비용 간 상세 연구가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축적된 오염토양 현장조사 및 위해성평가 자료가 희박하고 정화비용관련 자료 및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앞으로 정화기술 발전만큼이나 오염토양 조사, 평가, 정화 관련 데이터 축적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Cancer and non-cancer risks of a virtual fuel-contaminated site were estimated by using the Korean risk assessment guidelines for soil contamination. Five exposure pathways of benzene present in the fuel site to the human were addressed; soil ingestion, skin contact with soil, groundwater drinking, outdoor inhalation of dust particulates, and outdoor inhalation of vapours derived from soil. The lifetime cancer risk and non-cancer risk (hazard quotient, HQ) of the virtual site were calculated as 1.18E-3 and 5.36, respectively. Remediation costs were also estimated when three 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reduce health risks. Remediation costs of soil vapor extraction (SVE), thermal desorption and ex-situ bioremediation were estimated to be $750,000, $710,000 and $420,000, respectively, to reduce the initial cancer risk to 10-5. For non-cancer risk, SVE, thermal desorption and ex-situ bioremediation needed $600,000, $280,000 and $160,000, respectively, to reduce the initial HQ to 1.00. This study made many assumptions in risk and cost calculations and also used the USEPA collected cost data.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s and remediation costs should be followed by accumulating domestic data about soil investigation, risk assessment and remediation.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5.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