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 기반의 인터랙티브 스토리 구현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챗봇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NPC와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스토리를 소개한다. 콘텐츠 구현을 위하여 유니티 게임 엔진과 챗봇 API인 Amazon Lex를 사용하였으며, 플레이어에게 채팅 형식의 UI를 제공하여 텍스트 형식의 대사를 입력받았다. 구현한 대화 시스템은 플레이어에게 입력받은 텍스트의 의도와 감성을 분류하여 NPC의 호감도와 답변이 변화하도록 설계하였다. 감성은 긍정, 부정, 중립 중 하나로 분류되며, 사전에 정의된 챗봇의 의도는 약 20종류이다. 본 인터랙티브 스토리의 사용성과 대화의 자연스러...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2; no. 12; pp. 1969 - 197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1.22.12.1969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챗봇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NPC와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스토리를 소개한다. 콘텐츠 구현을 위하여 유니티 게임 엔진과 챗봇 API인 Amazon Lex를 사용하였으며, 플레이어에게 채팅 형식의 UI를 제공하여 텍스트 형식의 대사를 입력받았다. 구현한 대화 시스템은 플레이어에게 입력받은 텍스트의 의도와 감성을 분류하여 NPC의 호감도와 답변이 변화하도록 설계하였다. 감성은 긍정, 부정, 중립 중 하나로 분류되며, 사전에 정의된 챗봇의 의도는 약 20종류이다. 본 인터랙티브 스토리의 사용성과 대화의 자연스러움을 평가하기 위해 총 7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예비 실험(pilot study)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약 57%의 참가자가 채팅 형식의 자유로운 대화 시스템 사용에 별다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또한, 모든 질문에 랜덤으로 답변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챗봇을 활용한 NPC와의 대화가 더 자연스럽다는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interactive storytelling content that enables real-time conversation between NPCs and the player. To implement this content, we used the Unity game engine and Amazon Lex, a chatbot API. We also provided a chat-style UI for players to receive conversations in text format. The implemented dialog system that we propose is designed to classify the intention and sentiment of the text entered by the user to change the NPC's likability and response. The sentiment is classified in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and there are about 20 types of predefined chatbot intentions.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with 7 participants, about 57% of participants did not feel any discomfort in using the chat-type UI conversation system. Also, we found that conversations with chatbots were considered to be more natural than the randomized version which answered all questions at random.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1.22.12.1969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1.22.12.19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