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보행 회복에 미치는 인자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동의의료원에 내원하여 대퇴 전자간 골절을 진단받은 총 152명의 환자 중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로 수상 전 보행 능력, 성별, 연령, 골절 양상,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치매, 술 후 합병증 여부를 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2; no. 5; pp. 428 - 434
Main Authors 김진완(Jin Wan Kim), 문규필(Kyu Pill Moon), 황연수(Youn Soo Hwang), 송준연(Joon Yeon Song), 채정훈(Jeong Hoon Cha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7.52.5.42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동의의료원에 내원하여 대퇴 전자간 골절을 진단받은 총 152명의 환자 중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로 수상 전 보행 능력, 성별, 연령, 골절 양상,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치매, 술 후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및 단계 선택법을 통해 유의한 예측 인자를 연구하였다. 결과: 술 후 1년 보행 악화는 68%, 보행 유지는 32%였고,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대하여 수상 전 보행 능력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A 등급, 술 후 합병증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수상 전 보행 능력, ASA 등급, 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mbulatory recovery at one-year after the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PFN)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8 and September 2015, 152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Dong-Eui Medical Center. Of these patients, 75 were availabl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a stepwise selection method,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such as pre-injury ambulatory status, gender, age, fracture type,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grade, dementia, and complication. Results: A decrease in the one-year postoperative ambulatory status was 68% and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regained in 32% of patients. The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The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also predictors of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Conclusion: Pre-injury ambulatory status,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fter fixating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PFN in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KCI Citation Count: 4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7.52.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