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지식인의 지도 제작과 지리인식
지도란 그 시대와 민족의 지적 유산으로 지도를 통해 우리는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지도는 사용을 전제로 제작된 것이므로 지도를 만든 이의 구체적 사고나 생각이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조선시대 국가나 관에서 제작한 지도의 최전선에는 그것을 직접 손으로 그려내는 화원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지도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계층은 바로 지도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를 구상하고, 이를 위해 지리지와 지도의 중요성을 먼저 간파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량을 가진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선행연구를 심화하여 현존하는 조...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학논집 Vol. 69; pp. 93 - 140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12.2017
한국학연구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8902 2671-7492 |
| DOI | 10.18399/actako.2017..69.003 |
Cover
| Summary: | 지도란 그 시대와 민족의 지적 유산으로 지도를 통해 우리는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지도는 사용을 전제로 제작된 것이므로 지도를 만든 이의 구체적 사고나 생각이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조선시대 국가나 관에서 제작한 지도의 최전선에는 그것을 직접 손으로 그려내는 화원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지도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계층은 바로 지도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를 구상하고, 이를 위해 지리지와 지도의 중요성을 먼저 간파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량을 가진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선행연구를 심화하여 현존하는 조선시대 지도 중 지식인이 직접 제작에 참여한 지도를 중심으로 그들이 지도 위에 구현하려했던 사상과 지리인식을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국식 직방세계를 구현한 천하여지도와 도교사상에 근거한 천하도에 반영된 중화인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선전도의 형세적 윤곽을 중심으로, 숙종연간 백두산 정계 이후 북방에 대한 영토의식이 반영된 관방지도와 경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된 도서 지역에 대한 지도 상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본격적으로 제작된 서양식 세계지도에 대한 인식과 지식인들이 모본으로 삼은 중국의 漢譯 세계지도 원본과의 비교․고찰을 통해 중화를 탈피하고 세계를 사실적으로 파악하려던 노력을 살펴보았다. Maps, as the intellectual legacy, provide much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and Nations. Maps reflect the thought of makers because they were made by actual demand. There were many painters in the front line to paint maps made in Joseon Dynasty. But intellectuals gathered data of the geography books and maps, and they knew how to fill the contents in maps.
This paper focuses on geographical perception of the maps made by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aimed at Cheonha-do (天下圖) realized the Sino-centrism and ideals of Taoism, the complete maps of Joseon (朝鮮全圖) reflected the islets and northern territories issue and the Western maps into Chinese (漢譯世界地圖)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17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the intellectual thought got out of Sino-centrism through the western maps. The most of existing western maps made by Joseon’s intellectuals in Jeollado province, it is a subject to research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newcms.kmu.ac.kr/actakoreana/index.do |
| ISSN: | 1738-8902 2671-7492 |
| DOI: | 10.18399/actako.2017..69.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