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처리 활동 중재

음운처리는 구어와 문어의 처리과정에서 음운에 기초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아동이 글을 해독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기도 하다. 언어장애아동들은 음운처리 및 음운적 표상, 그리고 작업 기억과 같은 영역에서 제한을 보이며,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언어 및 학습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음운처리를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중재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생활연령이 5~6세이며 통합언어연령이 생활연령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9; no. 1; pp. 25 - 44
Main Author 박은실(Eun Sil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1.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음운처리는 구어와 문어의 처리과정에서 음운에 기초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아동이 글을 해독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기도 하다. 언어장애아동들은 음운처리 및 음운적 표상, 그리고 작업 기억과 같은 영역에서 제한을 보이며,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언어 및 학습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음운처리를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구성된 중재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생활연령이 5~6세이며 통합언어연령이 생활연령에 비해 1세 정도 지체된 단순언어장애아동 9명을 중재집단에 5명, 통제집단에 4명을 배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음운처리 활동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집단-통제집단/사전-사후 설계를 실시하였다. 중재집단에 대하여 음운처리 활동 프로그램, 즉 음운을 조작하거나 기억하거나 기억해내는 활동으로 구성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음운처리능력을 중재 전과 중재 후로 구분하여 평가한 후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음운처리 활동 중재가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음운인식능력, 음운부호화능력, 음운부호의 인출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honological processing training was effective o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vention group consisted of 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o were in phonological process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sisted of 4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o were not in phonological processing training. This study was a pre-post design with control group.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variation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variation of the syllable discrimination, syllable replacement, and phoneme discrimination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variation of the backward talking numbers ability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sides that. Th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variation of the ability lf speaking words that have the same phonemic information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sides that.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939.2010.19.1.012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