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가상 피팅 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AR가상 피팅 시스템의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실증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AR가상 피팅 시스템의 독립변수들로 실재감, 몰입감, 상호작용, 조작 편의성, 정보 제공성을 선정하였으며, TAM, 기대일치를 활용하여 지각된 유용성, 만족을 매개변수로 최종적으로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은 AMOS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AR가상 피팅 시스템을 경험하거나, 사용의사가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8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실재감, 몰입감, 상호작용, 조작편의성, 정보제...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5; pp. 991 - 100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5.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5.99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AR가상 피팅 시스템의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실증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AR가상 피팅 시스템의 독립변수들로 실재감, 몰입감, 상호작용, 조작 편의성, 정보 제공성을 선정하였으며, TAM, 기대일치를 활용하여 지각된 유용성, 만족을 매개변수로 최종적으로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은 AMOS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AR가상 피팅 시스템을 경험하거나, 사용의사가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8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실재감, 몰입감, 상호작용, 조작편의성, 정보제공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만족에는 상호작용, 조작 편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지각된 유용성, 만족은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검증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using the AR virtual fitting system. In the AR virtual fitting system, the actual feelings, the immersion feeling, the interaction, the operational convenience, and the serviceability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Finally, using the TAM, expectancy agree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s the parameters, Respectively.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MOS and SPSS statistical programs. A total of 18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stomers who experienced AR virtual fitting systems or were willing to use them.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real feeling, the immersion feeling, the interaction, the operational convenienc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the perceived usefulness. Finally,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KCI Citation Count: 12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9.20.5.991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5.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