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 및 평균대 종목 난도점수 계산국면의 오차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의 난도점수 계산국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의 크기와 오차종류별 발생빈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난도점수의 산출은 기술난도가치, 기술연결가치, 필수구성가치를 반영하여 A등급부터 I등급까지 차등점수를 부여하는 평정국면과 평정된 기술을 합산하여 난도점수를 산출하는 계산국면으로 나눠진다. 이 연구는 계산국면의 오차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44회 KBS배 전국체조대회의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에 출전한 선수 220명에게 난도점수를 부여한 D심...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1; no. 2; pp. 57 - 6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9.21.2.006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의 난도점수 계산국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의 크기와 오차종류별 발생빈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난도점수의 산출은 기술난도가치, 기술연결가치, 필수구성가치를 반영하여 A등급부터 I등급까지 차등점수를 부여하는 평정국면과 평정된 기술을 합산하여 난도점수를 산출하는 계산국면으로 나눠진다. 이 연구는 계산국면의 오차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44회 KBS배 전국체조대회의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에 출전한 선수 220명에게 난도점수를 부여한 D심판단 6명의 심사결과를 자료원으로 활용하였다. D심판단 6명은 국제심판, 국내1급심판, 대한체조협회 심판위원 등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이다. 체조선수들의 연기에 대하여 D심판단이 대회에서 실제로 선수들에게 부여하였던 난도점수와 D심판단 6명의 심사결과를 재계산한 난도점수의 차이를 계산국면의 오차로 규정한 후 종목별 그리고 시간대별 오차발생 빈도, 비율 그리고 오차의 크기 등을 산출하였다. 오차의 크기는 TEM 및 %TEM을 적용하여 산출하였고, χ2 검증으로 발생빈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기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은 선수들을 연기를 판정할 때 계산국면에서 약 10명 중 1명에 대하여 결과를 잘못 계산한다.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에 따른 오차의 발생비율은 차이가 없다. 둘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은 오전과 오후에 따라 오차를 발생시키는 종류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오전에는 계산오류를 많이 범하며, 오후에는 선택오류를 많이 범한다. 셋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이 발생시키는 오차의 크기는 난도점수 계산오류를 범할 때 약 0.15점을 오산출한다. 오전에 유발되는 오차에 비해서 오후에 유발되는 오차가 더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 of the difficulty score on calculation phase by the D judges in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of female gymnastics. The calculation of the difficulty score is divided into the evaluation phase in which the D judges are given grade from A to I to reflect the DV, CV and CR, and the calculation phase that calculates the score of the difficulty by synthesizing the rated skills.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calculation phase of difficulty scor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the results data of six D judges who gave the difficulty score to 220 female gymnastics participating in the 44th KBS competition. The six D judges are composed of international referees, level one domestic referees, and referee committee of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In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the female gymnasts with the evaluation phase, we calculated the error frequency and error size after calcula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ion phase. TEM and %TEM were used for size of the error, and the difference in error type was confirmed by the χ2 test. The criterion was set to α =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 judges in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of female gymnastics incorrectly calculate the difficulty score for one of the players in the counting pha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error in the calculation of the difficulty score between the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Second, there is differences in the error type that occur between the morning and afternoon in the D judges. Specifically, D judges make the calculation errors in the morning, but they make the selection errors in the afternoon. Third, the error size of the D judges calculate the error about 0.15 when the error of the difficulty score occu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9.21.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