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E Lab 칼라 공간의 성분 영상 a을 이용한 효과적인 여드름 검출

오늘날 현대인들은 피부 관리를 신체적 건강관리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얼굴에서 발견되는 피부 질환 문제는 여드름이다. 본 논문에서는 CIE L*a*b* 칼라 공간을 이용한 효과적인 여드름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성분 영상 a*의 값이 양수일 경우에 적색이므로 피부 영상에서 적색 계통의 여드름 검출에 적합하다. 먼저 RGB 칼라 공간 기반의 피부 영상은 칼라 밸런싱을 통해 광 보상을 수행하고, CIE L*a*b* 칼라 공간으로 변환한다. 추출된 성분 영상 a*을 정규화하고, 임계값 처리를 통해 피부 영역과 여드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7; pp. 1397 - 1403
Main Authors 박기홍(Ki-Hong Park), 노희성(Hui-Seong N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7.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7.13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오늘날 현대인들은 피부 관리를 신체적 건강관리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얼굴에서 발견되는 피부 질환 문제는 여드름이다. 본 논문에서는 CIE L*a*b* 칼라 공간을 이용한 효과적인 여드름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성분 영상 a*의 값이 양수일 경우에 적색이므로 피부 영상에서 적색 계통의 여드름 검출에 적합하다. 먼저 RGB 칼라 공간 기반의 피부 영상은 칼라 밸런싱을 통해 광 보상을 수행하고, CIE L*a*b* 칼라 공간으로 변환한다. 추출된 성분 영상 a*을 정규화하고, 임계값 처리를 통해 피부 영역과 여드름 영역을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밝기 정보를 이용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여드름을 검출하였고, 반사되는 광원에 강인함을 보였다. Today, modern people perceive skin care as part of their physical health care, and acne is a common skin disease problem that is found on the face. In this paper, an effective acne detection algorithm using CIE L*a*b* color space has been proposed. It is red when the pixel value of the component image a* is a positive number, so it is suitable for detecting acne in skin image. First, the skin image based on the RGB color space is subjected to light compensation through color balancing, and converted into a CIE L*a*b* color space. The extracted component image a* was normalized, and then the skin and acne area were estimated with the threshold val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acne more effective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against the reflected light source.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18.19.7.1397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7.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