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일개 대학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 9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대인관계보다 당면과제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일과 학업으로 인해 가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가장 많이경험하고 있었다.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은 삶의 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스트레스와 근무 형태로 확인되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7; no. 4; pp. 365 - 373
Main Authors 정유진(Yu-Jin Jeong), 김은경(Eun Ky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9.27.4.36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일개 대학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 9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대인관계보다 당면과제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일과 학업으로 인해 가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가장 많이경험하고 있었다.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은 삶의 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스와 역할 갈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스트레스와 근무 형태로 확인되었다.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이들의 스트레스를 적절히관리하고 일, 학업, 가정에서의 역할 간 균형을 이루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ole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among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After IRB approva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the 98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30,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Nursing graduate students were experiencing more stress on their facing task than the interpersonal dimension of stress, and had the greatest difficulty in playing the role of their families due to their work and school responsibilities. Stress and role conflict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role conflic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were identified by stress and working status. Conclus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nursing graduat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elp balance the roles between work, school, and family through appropriate stress management.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https://doi.org/10.17547/kjsr.2019.27.4.365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9.27.4.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