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상 HPLC-자외선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한 국내 수산자원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분석 및 검증
본 연구는 국내 수산자원에 대하여 HPLC-PDA와 HPLC- FLD 분석법을 이용한 수용성 비타민 B1, B2 및 B3 활성을 나타내는 thiamin, FAD, FMN, riboflavin, nicotinic acid 및 nicotinamide 6종 분석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고, 검증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수산자원 20종에 대한 신뢰도가 확보된 비타민 B1, B2 및 B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산자원의 수용성 비타민 분석법 검증은 분석수행지표(특이성, 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및 정밀성)를 이...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12; pp. 1308 - 1319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국내 수산자원에 대하여 HPLC-PDA와 HPLC- FLD 분석법을 이용한 수용성 비타민 B1, B2 및 B3 활성을 나타내는 thiamin, FAD, FMN, riboflavin, nicotinic acid 및 nicotinamide 6종 분석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고, 검증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수산자원 20종에 대한 신뢰도가 확보된 비타민 B1, B2 및 B3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산자원의 수용성 비타민 분석법 검증은 분석수행지표(특이성, 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및 정밀성)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비타민 B1과 B3의 표준용액과 수산자원 시료를 분석 비교한 결과 PDA spectrum과 HPLC retention time이 모두 일치하여 분석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B1, B2 및 B3 모든 성분에서 넓은 범위에서의 분석 직선성(R2=0.9989~1.0000)이 확인되었다. 비타민 B1(thiamin)의 LOQ는 0.0010 mg/100 g을 보였으며, 비타민 B2(FAD, FMN, riboflavin)의 LOQ는 각각 0.00014, 0.00006, 0.00001 mg/100 g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 B3(nicotinic acid와 nicotinamide)의 LOQ는 각각 0.0008과 0.0021 mg/100 g을 나타내어 수산자원의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을 정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준참고물질 SRM을 이용한 회수율 측정 결과 98.5~ 105.8%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비타민 B1의 반복성과 재현성은 각각 5.4%와 8.0%, 비타민 B2는 각각 3.5%와 4.2%, 비타민 B3는 각각 3.1%와 5.9%를 나타내어 분석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의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1, B2 및 B3 함량은 각각 0.00~0.84, 0.05~0.47 및 0.00~11.96 mg/100 g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수산자원 6군으로부터의 thiamin, nicotinic acid, nicotinamide, FAD, FMN 및 riboflavin 6종 분석 회수율은 79.9~120.1%의 범위를 나타냈는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용범위 수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 분석품질관리도표와 외부 분석 숙련도 시험 결과를 통해 우수한 숙련도와 분석품질이 분석 전 기간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1, B2 및 B3 분석 데이터는 국내 수산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HPLC/PDA를 이용한 비타민 B1과 B3 동시분석법과 HPLC/FLD를 이용한 비타민 B2 분석법은 향후 국내 다양한 수산자원 분석에 확대 적용하여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simultaneous analyses using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array detection for vitamin B1 (thiamin) and B3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and HPLC-fluorescence detection for vitamin B2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riboflavin 5′-monophosphate (FMN), and riboflavin) in seafood. The validated method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B1~3 vitamers in 20 kinds of seafood (4 fish, 3 crustaceans, 3 sea algae, 3 cephalopods, 4 shellfish, and 3 others). The quantification limits (mg/100 g) of the vitamin analyses were 0.0010 mg/100 g for thiamin, 0.0007∼0.0021 mg/100 g for FAD, FMN, and riboflavin, and 0.00001∼0.00014 mg/100 g for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with the lowest for riboflavin. Recovery of thiamin, riboflavin,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from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1849a and 3290 was 98.5∼105.8%, whereas it showed a wide range of 79.9∼120.1% for B1∼3 vitamers from seafood. Specifically, FMN was found to give the lowest (from mussel) and the highest (from Pacific herring) recoveries, which were acceptable as per official guidelines. Analyses of B1~3 vitamers showed coefficient variations of 3.1~5.4% for repeatability and 4.2∼8.0% for reproducibility, showing good precision. Total vitamin B1, B2, and B3 content (mg/100 g) of 20 types of seafood were 0.00∼0.84, 0.05∼0.47, and 0.00∼11.96, respectively. Nicotinic acid was detected in most types of seafood, whereas nicotinamide was found in only four. B2 vitamers were observed in all seafood. The z-scores of proficiency tests for vitamin B1∼3 analyses were within ±2, indicating excellent proficiency.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analysis data on B1, B2, and B3 vitamers of seafood, which would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nutrient food composition tabl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