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질병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개체명 인식
반려동물에 대해 높아진 관심으로 반려동물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반려동물이 아플 때 질병 관련 정보를 찾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려동물 질병 증상에 관련된 질병명을 답변으로 출력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에서는 질병명의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NER)을 위해 BERT에 CRF층을 추가한 BERT-DIS-NER 모델을 만들고, 질병명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음절 단위 개체명 인식을 사용한다. 반려동물 질병 데이터 부족 문제를...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3; no. 4; pp. 765 - 77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4.765 |
Cover
Summary: | 반려동물에 대해 높아진 관심으로 반려동물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반려동물이 아플 때 질병 관련 정보를 찾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려동물 질병 증상에 관련된 질병명을 답변으로 출력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에서는 질병명의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NER)을 위해 BERT에 CRF층을 추가한 BERT-DIS-NER 모델을 만들고, 질병명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음절 단위 개체명 인식을 사용한다. 반려동물 질병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 문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 질병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모델을 학습하고, 반려동물 질병에 대한 데이터를 파인튜닝에 사용한다. 실험 결과에서 BERT-DIS-NER의 F1-score는 사람 질병 데이터만을 학습했을 경우 0.74, 반려동물 질병 데이터만을 학습했을 때 0.77, 사람 질병 데이터에 반려동물 질병 데이터를 파인튜닝할 경우 0.81의 결과를 보여, 제안 방식에 의한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ile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growing interest in pets, it is still not easy to find disease-related information when a companion animal is sick.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t disease Q&A system that answers disease names related to the companion animal symptoms input by users. In our system, we create a BERT-DIS-NER model that adds a CRF layer to BERT for the disease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use syllable unit-based named entity recognition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 nam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animal disease data, a base model was trained using human disease data expected to have a similar context to pet disease, and data on the animal disease were used for fine-tuning. In experiments the F1-score of BERT-DIS-NER showed 0.74 trained with only human data, 0.77 trained with only animals, and 0.81 trained with human data and fine-tuned with animal data,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performanc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2.23.4.765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4.7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