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상토의 용적수분함량 조절이 ‘설향’ 딸기의 모주 생장 및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7:3(v/v)으로 혼합한 배지의 용적수분함량 조절이 ‘설향’ 딸기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딸기 모주 정식 전 20-20-20 복합비료를 질소 기준 250mg·L-1로 혼합상토에 기비로 첨가하였다. 사각초화박스 [64.3cm(L) × 23.5cm(W) × 17cm(H)]에 상토를 충전한 후 박스당 4주씩 모주를 정식하고 유리온실에 배치하였다. 상토의 용적수분함량(VWC)은 GS3 수분센서를 사용하여 조절하였고, 30, 39, 48, 57 및 66%로 VWC를 조절한 5처...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37; no. 4; pp. 499 - 50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08.2019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190050 |
Cover
Summary: |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7:3(v/v)으로 혼합한 배지의 용적수분함량 조절이 ‘설향’ 딸기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딸기 모주 정식 전 20-20-20 복합비료를 질소 기준 250mg·L-1로 혼합상토에 기비로 첨가하였다. 사각초화박스 [64.3cm(L) × 23.5cm(W) × 17cm(H)]에 상토를 충전한 후 박스당 4주씩 모주를 정식하고 유리온실에 배치하였다. 상토의 용적수분함량(VWC)은 GS3 수분센서를 사용하여 조절하였고, 30, 39, 48, 57 및 66%로 VWC를 조절한 5처리를 두어 실험하였다. 각 초화박스에 설정된 값 보다 VWC가 낮아졌을 때 5분간 양액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정식 후 110일째모주의 지상부 생장과 런너 및 자묘의 발생 및 생장을 조사하였다. 모주의 생장은 엽폭과 SPAD 값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VWC 설정에 따른 처리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VWC가 30%에서 66%로 높아질수록 초장, 엽병장 및 생체중이 길어지거나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VWC 57% 이상 처리구에서는 48% 이하 처리구들보다 엽병장이 4cm 이상 길어졌다. 모주 생장과 유사하게 VWC가 높을수록 총 자묘 발생수와 자묘 생체중 또한 많아지거나 무거워졌다. 모주당 발생한 런너수와 길이는 VWC 설정값이 48%에서 57%로 높아졌을 때 변화폭이 가장 컸다. 한편 식물체당 급액량은 VWC 48%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66% 처리구는 일 평균 11L가 소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모주 및 자묘의 생장은 VWC를 높게 설정할수록우수하였으나 양액 소비량을 감안한다면 VWC를 57%로 조절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rolling effects of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ina medium consisted of peat moss and perlite (7:3, v/v)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occurrenceand growth of daughter plants in ‘Seolhyang’ strawberry propagation. The medium was treated with asolution of 20-20-20 compound fertilizer (20-20-20 + 2MgO + micronutrients) with the concentrationof 250 mg·L-1 N as a pre-planting fertilizer. Each of the square shaped containers [64.3 cm (L) × 23.5cm (W) × 17 cm (H)] were filled with the root medium and four mother plants were transplanted, thenall the containers were placed in a glasshouse. VWC of the medium was measured by GS3 moisturesensor and the treatment set-up points in VWC were 30, 39, 48, 57, and 66%. When the VWC waslower than the value set in each treatment, the nutrient solution was supplied for 5 minutes. On the 110days after the transplanting,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s well as the occurrence and growth ofdaughter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mother plants in plant height, fresh and dry weightsall indexes except leaf width and SPAD valu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VWC set-points. Asthe VWC set-points were elevated from 30% to 66%, the plant heights, petiole lengths and freshweights tended to get longer and heavier. Petiole lengths in the treatments of 57% or 66% showed 4 cmlonger than those in the treatments of 48% or lower in VWC set-points. The elevation of VWCset-points also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occurred from mother plantsand their fresh weights with the increasing tendencies. The drastic increases were also observed innumber and length of runners per mother plant when the VWC set-points were raised from 48% to57%. The amount of fertilizer solution supplied to each plant per day increased drastically when theVWC set-points were 48% or higher compared to 30 or 39%.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VWC setpoints, the better the growth of mother and daughter plants. However, considering the nutrient andwater consumption, it is reasonable to control VWC set-point to 57%. KCI Citation Count: 7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190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