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배경 및 목적: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공학의 기술적 발달은 더 나은 치료를 위한 새로운 매체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왔고 증강현실 또한 그 중 하나로 관심받아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언어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개발된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총 10명의 단순언장애아동으로 하였고 증강현실기반으로 치료 한 실험집단 5명, 텍스트북 기반으로 치료한 통제집단 5명으로 사전사후 집단설계로 구성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동기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구성하였고 증강현실기반...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3; no. 2; pp. 139 - 15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6.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4.23.2.012 |
Cover
Summary: | 배경 및 목적: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공학의 기술적 발달은 더 나은 치료를 위한 새로운 매체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왔고 증강현실 또한 그 중 하나로 관심받아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언어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개발된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총 10명의 단순언장애아동으로 하였고 증강현실기반으로 치료 한 실험집단 5명, 텍스트북 기반으로 치료한 통제집단 5명으로 사전사후 집단설계로 구성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동기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구성하였고 증강현실기반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위해 진전정도, 치료흥미, 몰입을 통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진전효과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증강현실기반 치료 프로그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진전을 보였다. 둘째, 일반적 흥미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증강현실기반 치료프로그램이 일반적 흥미를 유발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몰입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증강현실기반 치료프로그램이 더 높은 몰입을 통한 최적의 경험을 이끌어 내었다. 논의 및 결론: 증강현실기반 치료는 치료효과에서 기존 텍스트북 방식과 동일하게 진전을 보였으며, 일반적동기와 몰입에서 텍스트북 기반의 치료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 증강현실기반 치료가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ultimedia and computer engineering present new medium for advanced therapy. Augmented reality(AR) has received as an altern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therapy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for facilitat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nterest and to identify the therapy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comprised ten children who have specific language disorder. The design of the study was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Results: The therapeutic effect of AR-based therapy was identified to be as effective as conventional therapy. Learning interest was found to be higher in AR-based therapy compared to text-based therapy. Higher learning flow was found in AR-based therapy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and sub-items. Conclusions: The therapeutic effect of AR-based therapy was more remarkable and learning motivation and flow improved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with text-based therap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R-based therapy by assessing its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y rather than distinguishing the superiority of one type of therapy over the other. Although there is some curiosity surrounding new treatments, AR-based therapy is certainly a more effective treatment in speech therapy. KCI Citation Count: 27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4.23.2.004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4.23.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