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B로 손상이 유도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s68)에서 일부 식품소재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보호 효과

UVB 조사는 MMPs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콜라겐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주름을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소재 8종을 선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독성과 UVB에 대한 보호 효과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OS 발생 정도는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으며 수용성 콜라겐과 MMPs의 생성량은 assay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50 μg/mL의 농도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료의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6; pp. 664 - 668
Main Authors 이하나(Hana Lee), 이종민(Jong Min Lee), 홍성문(Sung Moon Hong), 김나영(Na Young Kim), 손석준(Seok Jun Son), 정영재(Young Jae Jeong), 이현순(Hyun-Sun Lee), 이준수(Juns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6.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8.47.6.66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UVB 조사는 MMPs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콜라겐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주름을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소재 8종을 선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독성과 UVB에 대한 보호 효과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OS 발생 정도는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으며 수용성 콜라겐과 MMPs의 생성량은 assay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50 μg/mL의 농도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료의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레드파프리카, 토마토, 호박, 쥐눈이콩(중국산),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은 UVB 자극에 대해 각각 88, 104, 98, 97, 88%의 보호 효과를 보였다. 이 추출물들은 UVB 조사로 유도된 ROS의 생성량을 감소시켰으며 콜라겐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추출물들은 UVB 조사에 의한 MMP-1과 MMP-3의 증가를 억제했다. 그중 밤껍질이 UVB로 유도된 MMPs의 생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밤껍질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와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짐으로써 항노화 및 항주름 소재로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s a major cause of photoaging and leads to the formation of skin wrinkles by degrading collagen via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elected food materials against UVB-induced photoaging in human skin fibroblast (Hs68) cells.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samples on cell viability were examined by MTT assay under UVB (30 mJ/cm2)-treated and untreated conditions. Intra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determined by using a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 The levels of MMPs and collagen were measured by assay kits. The extracts (50 μg/mL)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Extracts from red paprika, tomato, pumpkin, chestnut shell, and Jinuni bean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UVB irradiation (88, 104, 98, 97, and 88%, respectively). These extracts reversed elevation of ROS production and prevented reduction of collagen levels. Moreover, the extracts inhibited elevation of MMP-1 and MMP-3 levels caused by exposure to UVB irradiation in Hs68 cells. Among the samples tested, chestnut shell was found to exhibit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against elevation of UVB-induced MMP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chestnut shell is the most promising food material for treatment of UVB-induced photoaging in cosmetic products. KCI Citation Count: 6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8.47.6.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