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액성 지방육종: 단일기관 치료 결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지에 발생한 점액성 지방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재발 및 전이의 양상 등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점액성 지방육종으로 치료 받은 91명의 환자(일차성 83명, 재발성 8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재발 및 전이 발생 및 생존율 및 생존의 예후 인자를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84개월(범위, 5-19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4; no. 5; pp. 440 - 44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19.54.5.440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지에 발생한 점액성 지방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재발 및 전이의 양상 등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점액성 지방육종으로 치료 받은 91명의 환자(일차성 83명, 재발성 8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재발 및 전이 발생 및 생존율 및 생존의 예후 인자를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84개월(범위, 5-19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82%, 10년 생존율은 74%였다. 일차성 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종양의 크기(p=0.04), 원형 세포 분포 정도(p<0.0001), 병리적 등급(p=0.0002), 국소 재발(p=0.006)이었다. 폐외 전이는 전이 환자의 75.0% (18/24)에서 나타났으며 전이 후 평균 생존 기간은 26개월(범위, 2-72개월)이었다.
결론: 점액성 지방육종은 주로 하지에 발생하며 종양의 크기, 병리적 등급, 원형 세포의 분포, 국소 재발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일반적인 육종과 달리 폐 이외의 전이를 많이 하는 특징이 있음을 치료 또는 추시중 유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treatment outcomes of myxoid liposarcoma in the extremities and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1 patients with myxoid liposarcoma (83 primary, 8 recurrent) between 2001 and 201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after treatment were examined. The survival rates and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were investigated. The mean follow-up was 84 months (range, 5–196 months).
Results: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yr and 10-yr were 82% and 74%, respectively. The tumor size (p=0.04), round cell component (p<0.0001), grade (p=0.0002), and local recurrence (p=0.006) affected survival in primary patients. Extrapulmonary metastases were observed in 75.0% (18/24) of metastatic patients and the mean post metastasis survival was 26 months (range, 2–72 months) Conclusion: Myxoid liposarcoma developed mainly at the lower extremities. The tumor size, grade, component of round cells, and local recurrence were associated wit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19.54.5.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