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별 자두 종자 추출물의 항갈변 활성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제조 시 생성되는 부산물 중 하나인 자두 종자를 이용하여 식품첨가물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항갈변 활성을 측정하였다. 세 품종의 자두 종자로부터 제조한 70% 프레타놀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후무사, 도담, 피자두 모두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감자 상등액에 대한 항갈변 활성은 피자두, 도담, 후무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들 자두 종자 추출물들은 모두 양성대조군인 arbutin에 비해서도 24시간째 우수한...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4; pp. 362 - 368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제조 시 생성되는 부산물 중 하나인 자두 종자를 이용하여 식품첨가물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항갈변 활성을 측정하였다. 세 품종의 자두 종자로부터 제조한 70% 프레타놀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후무사, 도담, 피자두 모두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감자 상등액에 대한 항갈변 활성은 피자두, 도담, 후무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들 자두 종자 추출물들은 모두 양성대조군인 arbutin에 비해서도 24시간째 우수한 항갈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PO 저해 활성은 피자두 종자가 모든 처리 농도에서 도담과 후무사 종자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피자두와 후무사 종자 추출물이 각각 ABTS와 DPPH 라디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과 슬라이스에 대한 항갈변 활성의 경우는 피자두와 도담 종자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나 품종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항갈변 실험을 수행한 결과 피자두 종자 추출물이 후무사와 도담 종자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갈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자두 종자를 이용한 새로운 천연 항갈변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더 나아가 식품가공 부산물 중 특히 과실 종자들의 새로운 활용방안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present study, various natural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ir anti-browning properties. Plum (Prunus salicina L.) seeds were subsequently selected as a potential material candidate, and the anti-browning activities of 70% ethanol seed extracts from three different plum cultivars (Formosa, Soldam, and Dodam) were analyzed. The average yield of plum seed extract was 3.02∼3.34%, with Formosa seeds showing a relatively high yield. In assays measuring the anti-browning effect on potato supernatant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polyphenol oxidase, the Soldam seed extract showed maximum anti-browning effects. In addition, the Soldam and Formosa seed extracts exerted considerably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oward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s, respectively.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of plum seed extracts as sources of natural anti-browning agents.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