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모델에 관한 문헌 연구: 2008~2019년 국내학술지 중심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8~2019년까지 학습장애 및 위험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여 학습장애의 선별과 진단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건에 맞는 논문 202편을 최종 선정하여 연구대상, 선별방법, 진단방법, 지능검사 종류와 기준, 학업성취도 및 인지처리 검사 종류 및 기준, 진단모델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장애 및 위험군 진단모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장애 아동 대상의 연구에서는 불일치 모델(70편)이, 학습장애 위험군 아동 대상의...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5; no. 3; pp. 135 - 16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2.2019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9.12.35.3.135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8~2019년까지 학습장애 및 위험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여 학습장애의 선별과 진단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건에 맞는 논문 202편을 최종 선정하여 연구대상, 선별방법, 진단방법, 지능검사 종류와 기준, 학업성취도 및 인지처리 검사 종류 및 기준, 진단모델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장애 및 위험군 진단모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장애 아동 대상의 연구에서는 불일치 모델(70편)이, 학습장애 위험군 아동 대상의 연구에서는 중재반응 모델(14편)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진단모델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과 2014년을 기점으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방법을 분석하였다.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방법을 분석한 결과, 교사추천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학습장애 및 위험군 진단방법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 연구의 경우 지능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가 같은 빈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장애 위험군 연구의 경우 학업성취도 검사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반응모델을 통한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방법을 분석하였다. 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중재반응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는데, 이 중 중재반응 모델의 적용과정에서 이중불일치 기준을 통하여 학습장애나 위험군으로 진단 및 선별하는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충분한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증거기반 진단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by analyzing domestic journals that conducted experimental studies on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from 2008 to 2019. Method: 202 papers were selected that matched the conditions and analyzed the subjects, screening methods, diagnostic methods, types and criteria of intelligence tests, types and criteria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tests, and types of diagnostic models. Result: First, we analyzed the types of diagnosis model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discrepancy model (n=70)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n=14)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e yearly analysis of the diagnostic model showed a change in the patterns of application of the models in 2010 and 2014. Second, regarding the screen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eacher recommendation was the highest in frequency. Regarding the diagnosis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e intelligence t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tud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the highest in frequency in the study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ird, we analyzed the screening and diagnosis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here are four main ways to apply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o diagnose learning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vidence-based diagnosis criteria need to be prepared on the basis of sufficient relevant stud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9.12.35.3.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