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크립트 중재의 효과

목적: 자폐범주장애 아동들은 상대방의 마음 상태를 파악하는 능력에 심한 결함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대인관계형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에 어려움이 있는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들의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40분으로 하였으며,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프로그램에 사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7; no. 3; pp. 135 - 147
Main Authors 서유진(Yu Jin Seo), 박은실(Eun Sil Park), 신혜정(Hye Jung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8.27.3.0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자폐범주장애 아동들은 상대방의 마음 상태를 파악하는 능력에 심한 결함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대인관계형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에 어려움이 있는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들의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40분으로 하였으며,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프로그램에 사용된 스크립트는 총 6개이며, 각각의 스크립트를 정서재인 단계, 스크립트 훈련 단계, 마무리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학령기 자폐범주장애 아동에게 스크립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아동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령기자폐범주장애 아동들의 마음읽기 능력 향상에 스크립트 중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스크립트는 상황에대한 공유된 지식을 제공해 줌으로써 자발적인 의사소통 기능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스크립트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마음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SD) exhibit severe deficits in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others. This leads to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interaction in children with AS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ript intervention on the theory of mind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a pre-post design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study on theory of mind ability. The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per session, with a total of 24 sessions being conducted. A total six scripts were us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each of the scripts was divided into emotion recognition, the script training, and completion.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structed using scripts that can occur in a variety of situations to understand and to express emotion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pre-assessment, the theory of mind ability of all subjects improved in the post-assessment. Second, compared to the pre-assessment, the theory of mind expression of all subjects improved in the post-assess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cript interven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theory of mind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The script can stimulate voluntary communication by providing a shared knowledge of the situation, and the activities that understand and express emotions that can occur in script situation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ory of mind ability.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http://www.ksha1990.or.kr/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8.27.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