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갯기름나물 뿌리를 물(PJRDE)과 에탄올(PJREE)로 추출하여 각각의 시료를 전자공여능과 수소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인간 간암 세포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종의 억제 활성과 항산화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은 PJREE에서 많았고, hydrogen atom transfer(HAT)와 electron transfer(ET)에 의한 항산화 활성도 PJREE에서 높게 나타났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은 H2O2에 의해 산화스트레스가 유발된 HepG2 세포...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8; no. 1; pp. 32 - 3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032 |
Cover
Summary: | 갯기름나물 뿌리를 물(PJRDE)과 에탄올(PJREE)로 추출하여 각각의 시료를 전자공여능과 수소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인간 간암 세포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종의 억제 활성과 항산화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은 PJREE에서 많았고, hydrogen atom transfer(HAT)와 electron transfer(ET)에 의한 항산화 활성도 PJREE에서 높게 나타났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은 H2O2에 의해 산화스트레스가 유발된 HepG2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특히 PJREE에서 높은 세포생존율과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인 SDO, GPx, GR은 PJRDE와 PJREE 처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CAT 효소는 PJREE 처리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수소공여능과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서 간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천연 생리활성물질로 갯기름나물 뿌리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root extracts were investigated in oxidatively stressed HepG2 cells. P. japonicum Thunberg root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PJRDE) and 95% ethanol (PJREE);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and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The extracts were evaluated for cellular anti-oxidation and protection using cell viability,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PJREE contained high amounts of bio-active compounds such as total phenol (5.64 mg gallic acid equivalent/g) and flavonoid (664.2 µg quercetin equivalent/g)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95.5% at 1,000 µ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87.2% at 2,000 µg/mL), FRAP (39.8 µmol FeSO4/g), and ORAC (133.4 µmol TE/g). The extracts also enhance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in the oxidatively stressed HepG2 cells. The activities of SOD, CAT, GPx, and GR were measured at 85.8%, 68.7%, 90.8%, and 105.4%, respectively, with PJREE (1,000 µ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PJREE) strongly induce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nzymes including SOD, CAT, GPx, and GR and is composed of effective antioxidant compounds against H2O2-stressed HepG2 cells.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