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구배추의 계절적 품종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성분 함량
결구배추의 계절적 품종을 각각 겉잎, 중잎 및 속잎으로 세 등분 하여 카로티노이드 성분 조성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성분 분석을 하여 품종과 부위별 조성의 차이를 구명하였다. 결구배추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및 β-carotene이 확인되었고, 그중 lutein, α-carotene 및 β-carotene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가을배추(82.6~460.2 μg/g DW)가 가장 높았으며, 여름배추(12.7...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9; pp. 912 - 91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9.912 |
Cover
Summary: | 결구배추의 계절적 품종을 각각 겉잎, 중잎 및 속잎으로 세 등분 하여 카로티노이드 성분 조성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성분 분석을 하여 품종과 부위별 조성의 차이를 구명하였다. 결구배추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및 β-carotene이 확인되었고, 그중 lutein, α-carotene 및 β-carotene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가을배추(82.6~460.2 μg/g DW)가 가장 높았으며, 여름배추(12.7~389.0 μg/g DW), 겨울배추(31.6~339.0 μg/g DW) 및 봄배추(21.5~141.2 μg/g DW) 순이었다(P<0.05). 부위별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겉잎(141.2~460.2 μg/g DW)이 가장 높았으며, 중잎(25.4~233.7 μg/g DW), 속잎(12.7~ 82.6 μg/g DW)의 순이었다(P<0.05).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및 각각의 카로티노이드 성분 함량과의 상관성은 β-carotene 함량(0.94668), lutein 함량(0.94293)이 높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1 주성분(PC 1)과 제2 주성분(PC 2)은 각각 67.57% 및 16.64%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누적 기여율은 84.21%를 나타내었다. PC 1의 총 카로티노이드, lutein, β-carotene의 함량이 주요 요인이며, PC 2는 β- cryptoxanthin의 함량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구배추의 개별 카로티노이드 성분 조성은 계절적 품종보다 일조량에 따른 부위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계절적 품종 중에서 가을배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위별로 속잎보다 겉잎이 높게 나타났다. β-Carotene 및 lutein의 함량이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상관성이 높았다. The carotenoid compositions of head-type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n seasonal cultivars by portion.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and β- carotene were identified, and lutein, α-carotene, and β-carotene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among all seasonal cultivars. Total carote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autumn cultivar (82.6∼460.2 μg/g dry weight (DW)) and decreased, in order, in the summer (12.7∼389.0 μg/g DW), winter (31.6∼339.0 μg/g DW), and spring (21.5∼141.2 μg/g DW) cultivars. The outer portion (141.2∼460.2 μg/g DW) had a higher total carotenoid content than the middle portion (25.4∼233.7 μg/g DW) and the inner portion (12.7∼82.6 μg/g DW) (P<0.05). Total carotenoid contents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β-carotene (0.94668) and lutein (0.94293). In the PCA, PC 1 and PC 2 comprised 67.57% and 16.64%, respectively, of the cumulative proportion (84.21%). The main factors in PC 1 were total carotenoid, lutein and β-carotene, while the main factor in PC 2 was β-cryptoxanthin. The carotenoid composition of head-type Kimchi cabbage exhibi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ortion rather than the seasonal cultivar. The carotenoid contents of autumn cabbage were highest among seasonal cultivars and that of the outer p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portion, which resulted in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of total carotenoid contents with β-carotene and lutein. KCI Citation Count: 6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9.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