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영화 CG 캐릭터의 불쾌한 골짜기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본 연구는 공포 영화 캐릭터에 대한 ‘불쾌한 골짜기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는 선행 연구로부터 인지된 인간 유사성, 인지된 기괴함, 불쾌한 골짜기 효과의 요인 등을 차용했으며, 20개의 공포 캐릭터에 대해 얼굴 인식 및 설문조사를 실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 Vision API의 경우, 인간유사형은 인간으로, 크리처 유형은 거의 동물로 인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외형적 요소가 불쾌한 골짜기 효과와 공포감 발생에 대한 영향력이 도출됨에 따라, 외형적 사실성 추구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불쾌한 골짜기 효과(UVE)에 대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1; no. 9; pp. 1585 - 1597
Main Authors 서예은(Ye-Eun Seo), 박진완(Jin-Wa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9.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9.158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포 영화 캐릭터에 대한 ‘불쾌한 골짜기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는 선행 연구로부터 인지된 인간 유사성, 인지된 기괴함, 불쾌한 골짜기 효과의 요인 등을 차용했으며, 20개의 공포 캐릭터에 대해 얼굴 인식 및 설문조사를 실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 Vision API의 경우, 인간유사형은 인간으로, 크리처 유형은 거의 동물로 인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외형적 요소가 불쾌한 골짜기 효과와 공포감 발생에 대한 영향력이 도출됨에 따라, 외형적 사실성 추구 이외에 다양한 요인들이 불쾌한 골짜기 효과(UVE)에 대한 인지 및 정서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 및 실무적 차원에서 향후 영상 콘텐츠 제작의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 시각 효과 등과 관련된 전문가들이 ‘불쾌한 골짜기 효과’에 대한 이해의 증진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제작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uncanny valley effect on the horror movies characters. We adopt the concept of the perceived humanness and perceived eeriness used in previous researches. We also run facial recognition programs to verify the human-likeness, and we conduct a survey to illuminate the uncanny valley effect, fear, perceived humanness and perceived eeriness. In the case of the Microsoft Vision API, human-like types are recognized as humans, on the other hands, creature types are mostly detected as animals. The significance of the appearance elements is derived and this research proves that various factors other than the pursuit of realism influence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to the uncanny valley effect.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 the study not onl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ntent creator, but also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uncanny valley effect for experts related to computer graphics, animation, visual effects in the near future.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0.21.9.1585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9.1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