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속도조절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적: 이 연구는 조음음운장애아동의 과제 유형에 따른 구어속도를 살펴보고, 구어속도조절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자음정확도와 구어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5세 조음음운장애아동 10명이었다. 과제 유형에 따른 대상아동의 일반적인 구어속도를 측정하고, 느린 구어속도로 녹음된 문장을 제시하여 대상자가 느린 구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대상아동의 일반적인 구어속도와 느린 구어속도로 산출한 문장을 녹음하여 전사한 후 자음정확도와 구어명료도를 구하고,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5세 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5; no. 3; pp. 125 - 134
Main Authors 이서희(Seo Hee Lee), 신혜정(Hye Jung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6.25.3.0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 연구는 조음음운장애아동의 과제 유형에 따른 구어속도를 살펴보고, 구어속도조절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자음정확도와 구어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5세 조음음운장애아동 10명이었다. 과제 유형에 따른 대상아동의 일반적인 구어속도를 측정하고, 느린 구어속도로 녹음된 문장을 제시하여 대상자가 느린 구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대상아동의 일반적인 구어속도와 느린 구어속도로 산출한 문장을 녹음하여 전사한 후 자음정확도와 구어명료도를 구하고,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5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과제 유형에 따른 구어속도와 구어속도조절에 따른 조음음운능력에 관한 연구결과는 첫째, ‘그림책 보며 이야기하기’ 과제 보다 ‘놀이하며 이야기하기’ 과제에서 더 빠른 전체구어속도와 조음속도가 나타났으며, 과제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일반속도와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으로 문장말하기 과제를 수행한 후 각각의 자음정확도를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대상 아동 모두 자음정확도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일반속도와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으로 문장말하기 과제를 수행한 후 각각의 구어명료도를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대상 아동 모두 음절명료도와 단어명료도가 각각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조음음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느린 속도의 구어자극은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언어 중재시 자음정확도 및 구어명료도 향상을 위한 치료 방안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peaking rate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based on task type and the effect of speech rate control on their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 Te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ged five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duced to estimate slow speech rate by presenting sentences that had been recorded at a slow speech rate after measuring the general speech rate of subjects based on particular task types. Results: First, faster general speech rates and articulatory rates were represented in storytelling tasks while playing rather than storytelling tasks while reading picture book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by each task type. Seco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fter performing sentence speaking tasks based on speech stimulation of general slow speech rate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when speech stimulation of slow speech rate was presented,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increased in all subject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 comparative analysis of speech intelligibility after performing sentence speaking tasks based on speech stimulation of a general, slow speech rate of subjects, when speech stimulation of slow speech rate was presented, showed syllable and word intelligibility increases in all subject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peech stimulation of slow speech rate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ability of the test subject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939.2016.25.3.009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6.25.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