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의 관련성: 평가 기준 일치도 검증
이 연구는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 두 검사의 상관을 살펴보고, 카조리 5단계 평가 기준에 대한 일치도를 검증함으로써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자는 2017년 8월~12월까지전국에 개설되어 있는 37개소 국민체력 100 센터에 방문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하도록 하였다. 기간 내 참여한 대상자 중 최종 분석에 적용된 대상자는 총 3,084명이다.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변인의 성별·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1; no. 3; pp. 47 - 5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9.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9.21.3.005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 두 검사의 상관을 살펴보고, 카조리 5단계 평가 기준에 대한 일치도를 검증함으로써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자는 2017년 8월~12월까지전국에 개설되어 있는 37개소 국민체력 100 센터에 방문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하도록 하였다. 기간 내 참여한 대상자 중 최종 분석에 적용된 대상자는 총 3,084명이다.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변인의 성별·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측정방법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변인의 평가 규준에 대한 일치도 검증은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카이제곱(χ2), 스피어만의 등위상관계수 및 카파통계량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그리고 모든 연령집단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기록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의 카조리 5등급에 대한 일치도 검증 결과, 78.9%의 높은 일치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시각과 청각을 통한 반응을알아보는 검사 도구로 적용되고 있는 두 검사 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눈-손 협응력 검사는 반응시간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도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Eyes-Hands Coordination Test (EHC) and Reaction time Test (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048 people who visited the 37 center of national fitness 10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Cross tab analysis was conducted to agreement of the two variables of evaluation standard. Chi square test,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appa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EHC test and RT test, males were superior to females and younger the age, the better the record in all age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EHC test and RT test showed high correlation. Agreement of EHC test and RT test with the Cajori grade 5 showed a high concordance of 78.9%.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high relationship between EHC terst and RT test which is applied as a test tool for visual and auditory responses. Therefore, the EHC test may be useful as a tool for determining RT tes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9.21.3.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