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연령주의 관련요인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노인연령주의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78명의 간호사이며, 자료수집은 D시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9년 3월에 한 달간 구조화된 설문지에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를 비롯하여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5; no. 5; pp. 393 - 403
Main Authors 김주아(Kim, Juah), 하지연(Ha, Ji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간호행정학회 01.12.2019
간호행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330
2288-4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노인연령주의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78명의 간호사이며, 자료수집은 D시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9년 3월에 한 달간 구조화된 설문지에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를 비롯하여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노인연령주의는 72점 만점에 39.75±5.44점이었고, 노인과의 접촉 경험(r=-.47, p<.001), 태도(r=.40, p<.001), 노화 불안(r=.35, p<.001)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과의 접촉경험이 낮거나 부정적일수록(β=-.45, p<.001),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β=.20, p=.002), 근무부서가 병동일 경우(β=.22, p<.001), 기혼자일수록(β=.21, p<.001), 노인간호를 선호하지 않을수록(β=.18, p=.006), 노인간호 교육 수혜경험이 없을수록(β=.17, p=.006), 노화불안이 높을수록(β=.14, p=.041) 노인연령주의 점수 높았으며, 이들 변인들의 노인연령주의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39.0%(adjusted R2=.39)이었다. 결론: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노인에 대한 지식보다 노인과 접촉했던 경험이나 태도가 노인연령주의의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노인과의 접촉 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간호사가 충분하게 노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 보장 등의 환경적 여건을 마련해야 하며, 노인환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잘못된 편견을 개선할 수 있는 병원 유형별 맞춤식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학과 교육과정과 간호사 보수교육에서 간호사 노인연령주의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factors involved in ageism in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8 general hospit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in March 2019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total score for ageism was 39.75±5.44 out of a maximum of 72. Age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ntact experience (r=-.47, p<.001), attitude (r=.40 p<.001), and aging anxiety (r=.35 p<.001). The determining factors affecting ageism were contact experience (β=-.45, p<.001), attitude (β=.20, p=.002), work place (β=.22, p<.001), marital status (β=.21, p<.001), geriatric nursing preference (β=.18, p=.006), geriatric education (β=.17, p=.006), and aging anxiety (β=.14, p=.04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s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ageism in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ailored education programs by hospital type to increase positive contact experience and promote understanding of older patients in acute care settings.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the perception of ageism needs to be highlighted in nursing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