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 타당화: Rasch 모형을 적용한 Messick의 통합적 관점 타당도

이 연구는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Rasch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 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대학 중 세 개 대학을 선정하여 전공체조 수업에 참가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체육전공 대학생으로서 체조수업을 이수한 남녀학생(남학생: 180명, 여학생:198명) 378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학년은 1학년 130명(33.4%), 2학년 131명(34.7%), 3학년 78명 (20.6%), 4학년 39명(10.3%)으로 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2; no. 1; pp. 13 - 24
Main Authors 서연희(Yeon Hee Seo), 윤지운(Jiwun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3.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Rasch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 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대학 중 세 개 대학을 선정하여 전공체조 수업에 참가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체육전공 대학생으로서 체조수업을 이수한 남녀학생(남학생: 180명, 여학생:198명) 378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학년은 1학년 130명(33.4%), 2학년 131명(34.7%), 3학년 78명 (20.6%), 4학년 39명(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조수업 만족도 측정도구는 체조수업관련 선행연구와 체육수업만족 관련 선행연구를 기초로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항을 선별하고, 의미가 모호한 문항에 대 하여 수정절차 등을 거쳐 최종 1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2개 문항은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6개 문 항과 수업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 도 검사도구의 타당화를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의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적용하였다. Rasch를 위한 프로그램은 WINSTEPS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는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만족하고 있다. 둘째,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는 실제 에 기초한 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5점 척도는 적절하다. 셋째,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는 주성분 분석 결과 문항의 일차원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를 만족하였다. 넷째, 문항차별기능을 통하 여 분석한 대학 전공체조 수업만족도 측정도구의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는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전공체조 수 업만족도 측정도구는 체육관련 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조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타당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validation study using Rasch model for Gymnastics Classes Satisfaction Inventory (GCSI) i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ree universities were selected from Seoul, Korea and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ymnastics classes in university. Participants were 378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180 and female 198) who completed gymnastics classes as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r kinesiology. The participants' grades consisted of 130 first grade students (33.4%), second grade 131 students (34.7%), third grade 78 students (20.6%), and fourth graders 39 students (10.3%). The GCSI selected the items that mat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the expert group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made up the final 12 items. For the validity of the GCSI, the one-parameter Rasch rating scale model of the item response theory was applied. The program for Rasch used WINSTEPS and set the α = .05.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CSI satisfies the validity based on the test contents. Second, the GCSI secures validity based on reality and the 5-point scale is appropriate. Third, the GCSI was found to support the one-dimensionality of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satisfied the validity based on the internal structure. Fourth, validity based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GCSI analyzed through the item discrimination function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GCSI is valid tool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gymnastic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225
2671-9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