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의 이중매개모형
창업 확산을 위해 각 대학과 여러 기관들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이 수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청년 및 대학생들은 창업에 대해서 미온적인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미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효과가 발휘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충분치 못해서 교육방향이 다르게 수행되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기존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요 변수인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기본으로 하고, 그 사이에창업교육의 효과를 전달하는 과정을 좀 더 세밀히 살펴보고자 ‘창업교육-창업자기효능감-창업동기-창업의도’...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33; no. 3; pp. 443 - 46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3.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Summary: | 창업 확산을 위해 각 대학과 여러 기관들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이 수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청년 및 대학생들은 창업에 대해서 미온적인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미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효과가 발휘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충분치 못해서 교육방향이 다르게 수행되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기존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요 변수인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기본으로 하고, 그 사이에창업교육의 효과를 전달하는 과정을 좀 더 세밀히 살펴보고자 ‘창업교육-창업자기효능감-창업동기-창업의도’ 로 이어지는 이중매개모형을 상정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최근 3년 이내에 창업교육관련 프로그램에적어도 한 번 이상 참여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응답을 수집하여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확인적요인분석, 판별타당성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창업교육이 두 매개변수 중 창업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창업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두 매개변수 중 첫 번째 변수인 창업자기효능감이두 번째 매개변수인 창업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의 이중매개모형이 성립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창업교육이 두 매개변수 중 창업자기효능감에 강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동기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줌으로써 단일 매개모형이 가질 수 있는 분석 상의 오류를 바로잡는 효과도있다. 더불어 기존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자주 등장했던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 간에 인과관계가 성립됨을보여줌으로써 한층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현장 창업교육에서 교육효과가 전달되는 경로를확인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spread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by universities and various institutions. Nevertheless, It is still true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lukewarm about start-up. So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direction is being performed differently because the effect of incub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not sufficient or the information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effect is manifested i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dealt with by existing studies, we will look into the process of deliver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effect in between. The dual mediation model that leads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assum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had at least once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dual mediation model is established through the medium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These findings are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establishment of a double mediation model through the medium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alth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strong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also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analytic errors that a single mediation model may have by showing that it does not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motivation. In addition, more detailed information was provided by showing that a caus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hen, It is significant that the route of effect delivery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identified.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