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과 건강체력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성인 3명이며, 연구설 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및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 리중재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지원으로 스트레칭 사진과 동영상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칭 수행, 자기점검, 자기평가 및 쿠폰판을 작성하는 자기관리중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기간에 스트레칭 수행율 과 건강체력(순발력, 유연성, 평형성...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4; no. 1; pp. 63 - 9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8.2018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8.08.34.1.63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과 건강체력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성인 3명이며, 연구설 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및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 리중재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지원으로 스트레칭 사진과 동영상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칭 수행, 자기점검, 자기평가 및 쿠폰판을 작성하는 자기관리중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기간에 스트레칭 수행율 과 건강체력(순발력, 유연성, 평형성)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스트레칭 수행율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를 통해 스트레칭 수행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스트레칭 수행율의 증가를 통해 건강체력 중 유연성 및 평형성이 향상되었 다. 셋째,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에 의해 습득된 스트레칭 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 과 건강체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on the stretching performance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esign of the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and on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Intervention was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Stretching photos and videos were used visual support, an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was conducted to stretching performance, self-monitering, self-evaluation and create cupon plates. The rate of stretching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quickness, fiexibility, and balance) were measured during baseline and maintenance phases, and the rate of stretching were measured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stretching increased through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Second, increased rate of stretching improved flexibility and bala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ird, stretching behavior learned by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have affected stretching performance and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8.08.34.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