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들의 신체활동 현황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한국 성인의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령은 전체 성인을 생애전환기(40세, 66세)를 기준으로 청장년(19세~39세), 중년(40세~65세), 노년(66세 이상)으로 그룹화 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층화변수, 집락변수, 조사변수 가중치를 반영한 후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신체활동에서 일 관련 중강도 시간(day)을 제외한 모든 신체활동 유형에서 남성이 여성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0; no. 4; pp. 1 - 1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1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8.20.4.00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한국 성인의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령은 전체 성인을 생애전환기(40세, 66세)를 기준으로 청장년(19세~39세), 중년(40세~65세), 노년(66세 이상)으로 그룹화 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층화변수, 집락변수, 조사변수 가중치를 반영한 후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신체활동에서 일 관련 중강도 시간(day)을 제외한 모든 신체활동 유형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신체활동량을 나타냈다. 연령별에서는 강도별 신체활동(min. & METs)과 각 유형별 신체활동(day)의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저강도 신체활동(min.), 근력운동(day), 유연성 운동(day) 신체활동영역을 제외하고, 노년보다 청장년, 중년이 높았다.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이 대사증후군이 있는 집단보다 저강도 신체활동(min.), 일 관련 고강도 신체활동(day), 여가 관련 고강도 신체활동(day), 여가 관련 중강도 신체활동(day) 총 신체활동(METs.), 근력 운동(day), 유연성 운동(day)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악력(kg)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보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이 더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hysical activity time(min.), day/week, and various types(grip strength, muscle strength, and participation rate(%) with light, moderate, vigorous intensity) according to sex, ag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study subjects were 5,021 adults (2,029 males and 2,992 females), 19 years or older, who completed all three components of the KNHANES VI-2: health interview,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using life transition periods (40 and 66 years of age), into young adults (19–39 years old), middle-aged adults (40–65 years old), and older adults (66 years and older).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KNHANES VI-2. IBM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for complex samples analysis that considered sampling weight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we used the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min. and METs) or other factors(muscle and grip strength, flexibility, and participation rate) taken for all physical activity domains, except for work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ime(day; p>.05), was found to be higher in men(p<.05). Related to age group,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min., METs, and day) or other factors(fitness and participation rate) taken for all physical activity domains, except for light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ime(min.; p<.01 in young(-)), muscle strength exercise time(day; p<.001 in young(-) and middle(-)), and flexibility exercise time(day; p<.001 in young(-) and middle(-),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young and middle age group(p<.05).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min., METs, and day) or other factors(fitness and participation rate) taken for all physical activity domain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except for light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ime(min.; p>.05), work vigorous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ime(day; p<.05), leisure vigorous and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ime(day; p>.05), total physical activity (METs; p>.05), and grip strength(kg; p<.01), was higher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8.20.4.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