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와 무청의 활성 성분 함량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비교
본 연구에서는 무와 무청에 함유된 활성 물질인 glucoraphenin과 ferulic acid의 함량을 UPLC TQ-MS system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 결과 무청 주정 추출물이 11,971.8 μg/g의 glucoraphenin과 851.7 μg/g의 ferulic acid를 함유하고 있어 무의 주정 추출물과 무와 무청의 물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T3-L1 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분화 억제 시험에서도 무청 주정 추출물이 100 ppm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유의적인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보였고,...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4; pp. 347 - 35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무와 무청에 함유된 활성 물질인 glucoraphenin과 ferulic acid의 함량을 UPLC TQ-MS system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 결과 무청 주정 추출물이 11,971.8 μg/g의 glucoraphenin과 851.7 μg/g의 ferulic acid를 함유하고 있어 무의 주정 추출물과 무와 무청의 물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T3-L1 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분화 억제 시험에서도 무청 주정 추출물이 100 ppm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유의적인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보였고, 이는 무청 물 추출물이나 무 추출물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무청 주정 추출물은 향후 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Radish (Raphanus sativus)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tioxidant, anti-microbial, anti-coagulant, anti-hyperlipidemic,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so far on the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and adipogenesis inhibitory activity between various parts of the radis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lucoraphenin and ferulic acid content in radish root and leaf extracts using a UPLC TQ-MS system. Also, their adipogenesis inhibitory effects were examined using 3T3-L1 preadipocy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adish leaf extract has higher glucoraphenin (11,971.8 μg/g in EtOH extract) and ferulic acid (851.7 μg/g in EtOH extract) content than radish root extracts an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suppressing activity was also higher than the radish root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adish leaf is rich in active ingredients and has a higher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n the radish root. Therefore, radish leaves could be used in the active compound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for adipogenesis suppression.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