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를 이용한 화용적 듣기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담화표지를 사용한 대화 듣기에서 지적장애성인의 추론 및 사실적 질문 이해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적장애성인 15명(언어연령 10세-5명, 11세-5명, 12세-5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언어연령 10세-5명, 11세-5명, 12세-5명)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가지 유형의 담화표지어가 포함된 4가지 상황(전화, 학교, 일상, 가정)에서 일어나는 대화를 듣고 추론적 질문, 사실적 질문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담화표지에 따른 듣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9; no. 2; pp. 179 - 190
Main Authors 김화수(Wha Soo Kim), 이지우(Ji Woo Lee), 김미지(Mi Ji Kim), 이후인(Hu In Lee), 장은영(Eun Young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4.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0.29.2.1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담화표지를 사용한 대화 듣기에서 지적장애성인의 추론 및 사실적 질문 이해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적장애성인 15명(언어연령 10세-5명, 11세-5명, 12세-5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언어연령 10세-5명, 11세-5명, 12세-5명)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가지 유형의 담화표지어가 포함된 4가지 상황(전화, 학교, 일상, 가정)에서 일어나는 대화를 듣고 추론적 질문, 사실적 질문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담화표지에 따른 듣기 이해 검사에서 추론적 질문과 사실적 질문 모두에서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지적장애성인 집단이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담화표지에 따른 듣기이해 검사 결과, 두 집단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추론과 사실 대화듣기 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담화표지 하위항목별(첨가, 대조, 원인/결과, 시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사실질문 보다 추론적 질문에서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장애 집단의 추론적 질문 중 대조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담화표지 상황별(전화, 학교, 일상, 가정)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추론질문에서 상황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전화 상황에서 두 집단 모두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실적 대화 듣기 능력, 추론적 대화 듣기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므로 꾸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used discourse markers to investigat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bility to comprehend inferential and literal questions while listening to conversations. Methods: There were 30 people included in the study;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5 people each aged 10, 11, and 12) and 15 non-disabled children matched for language ages (5 people each aged 10, 11, and 12). The conversations contained four types of discourse markers in four situations; both inferential and literal questions were tested. Results: First, in the test of listening comprehension by using discourse markers, the intellectually-disabled group showed lower total scores than the non-disabled group in both inferential and literal questions. Second, as a result of listening comprehension by using discourse markers divided by ages, both groups increased listening ability of inference and literality as their respective ages increased. Thir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subsections of discourse markers (addition, contrast, cause, and effect, time), both the intellectually-disabled groups and non-disabled groups showed lower average scores in inferential questions than literal questions. In particular, the intellectually-disabled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inferential questions by using ‘contrast’ discourse markers. Fourth, in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situations of discourse markers (phone call, school, daily life, family),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rential questions by situations.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s in the phone call situation.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constant education is needed since both literal and inferential conversation listening ability has continuously improved as the ages of the intellectually-disabled group increas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slhd.org/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0.29.2.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