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위참여의 결정요인: 전통적 요인과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간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시위참여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이념, 평상시 정치적 관여의 전통적 요인과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간에 나타난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시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시기와 대상은 2016-17년 촛불집회 이후의 일반시위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가치는 중간값 이상의 인식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물질주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두 가지 가치는 전통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만 시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Saved in:
Published in | 현대정치연구 Vol. 15; no. 1; pp. 35 - 7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01.04.2022
현대정치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9466 2635-6015 |
DOI | 10.52594/jcp.2022.04.15.1.35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위참여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이념, 평상시 정치적 관여의 전통적 요인과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간에 나타난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시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시기와 대상은 2016-17년 촛불집회 이후의 일반시위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가치는 중간값 이상의 인식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물질주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두 가지 가치는 전통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만 시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물질주의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과 소득, 비투표활동, 낮은 정치·비정치 결사체 활동과, 참여·표현형 탈물질주의는 높은 연령과 비투표활동과, 그리고 권익옹호형 탈물질주의는 이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시 위참여를 추동하였다. 셋째, 전통적 요인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력하였다. 낮은 연령과 소득, 평상시 투표활동, 정치·비정치적 결사체 활동, 진보 이념은 시위참여를 촉진하였고, 이증 결사체 활동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protests. To be specific,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protest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terialism, post-materialism, and traditional factors namel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deology, and political engagement. The analysis period and subjects were limited to general protests after the 2016-2017 candlelight pro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s of materialism and post-materialism showed awareness above the median value. Awareness of materialism was relatively higher than of post-materialis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wo values influenced protest participation only through interaction with traditional factors. Materialism had an effect on protest participation via interaction with relatively high age and income level, non-voting activity, and low political·non-political association activity. One of the types of post-materialism: Participation·expression, had an effect on protest participation via interaction with high age and non-voting activity. Another type of post-materialism: Advocacy, had an effect on protest participation via interaction with ideology. Third,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factors was still significant. Low age and income, voting activity, political·non-political association activity, and progressive ideology promoted protest participation, with association activities having the highest influen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6-9466 2635-6015 |
DOI: | 10.52594/jcp.2022.04.15.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