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부조직에 발생한 단소성 섬유 종양의 임상 결과

목적: 연부조직에 발생한 단소성 섬유종은 드문 종양으로,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연부조직 단소성 섬유종 환자들의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단소성 섬유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임상 기록, 자기공명영상,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4예, 여자가 2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5세(32-56세)였다. 한 명의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술, 다섯 명의 환자에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4예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1; no. 6; pp. 515 - 520
Main Authors 공창배(Chang-Bae Kong), 최성우(Sung Woo Choi), 조상현(Sang-Hyun Cho), 송원석(Won-Seok Song), 조완형(Wan-Hyeong Cho), 고재수(Jae-Soo Koh), 전대근(Dae-Geun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연부조직에 발생한 단소성 섬유종은 드문 종양으로,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연부조직 단소성 섬유종 환자들의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단소성 섬유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임상 기록, 자기공명영상,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4예, 여자가 2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5세(32-56세)였다. 한 명의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술, 다섯 명의 환자에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4예에서 현미경적으로 절제연에 종양세포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추가적인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절제술 후 조직학적 진단은 단소성 섬유종이 4예, 악성 단소성 섬유종이 2예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25.8개월(6-66개월)이었으며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단소성 섬유종은 재발과 전이가 잘 되지 않는 중등도 종양으로 신경, 혈관, 뼈와 같은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에 종양이 근접한경우 이를 보존하는 수술법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절제연 양성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환자에게 국소 재발의 위험성이 높음을 주지시키고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Purpose: Solitary fibrous tumors (SFT) represent a rare entity of soft tissue tumors which are exclusively located in the thoracic cavity as pleural fibrous tumors. Extrathoracic SFT in the soft tissues are very rare. We analyzed the oncologic outcome of the soft tissue SF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4, we treated 6 soft tissue SFT cases. Patients’ clinical data, magnetic resonance imagings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two women and four men.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5 years (range, 32–56 years). The mean tumor size is 7.2 cm (range, 3.5–13.0 cm). One patient received wide excision of the tumor and remaining 5 patients marginal excision. After the excision, pathologic report confirmed that 4 patients showed margin positive. However, no patient received further surgery or adjuvant treatments. After the immunohistochemistry, 2 out of 6 patients identified as malignant soft tissue SF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8 months (range, 6–66 months). Although 4 patients revealed margin positivity, no subsequent local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was observed. Conclusion: Since the SFT are categorized as intermediated biological potential with a low risk of metastasis and recurrence, marginal excision can be a one of the surgical options for these tumor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vital structures. However, close observation is needed because local recurrence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6.51.6.001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