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판 멜론 품종들의 덩굴쪼김병 저항성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에 의해 발생하는 덩굴쪼김병은 멜론 재배에서 발생하는 주요 병해 중 하나로 심각한 수 량손실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시판 중인 멜론 품종들의 F. oxysporum f. sp. melonis에 대한 저항성 종류를 구명하고자 실험하였다. 멜론 덩굴쪼김병균의 판별 품종 4개(‘Charentais T’, ‘Charentais Fom-1’, ‘Charentais Fom-2’, ‘MR-1’)에 대한 병원성에 기초하여, F. oxysporum f. sp. melonis 7개 균주의 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36; no. 4; pp. 577 - 584
Main Authors 이원정(Won Jeong Lee), 장경수(Kyoung Soo Jang), 최용호(Yong Ho Choi), 김헌(Hun Kim), 최경자(Gyung Ja Choi), 이수민(Soo M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08.2018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에 의해 발생하는 덩굴쪼김병은 멜론 재배에서 발생하는 주요 병해 중 하나로 심각한 수 량손실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시판 중인 멜론 품종들의 F. oxysporum f. sp. melonis에 대한 저항성 종류를 구명하고자 실험하였다. 멜론 덩굴쪼김병균의 판별 품종 4개(‘Charentais T’, ‘Charentais Fom-1’, ‘Charentais Fom-2’, ‘MR-1’)에 대한 병원성에 기초하여, F. oxysporum f. sp. melonis 7개 균주의 레이스를 동정하였다. 실험한 균주 중 race 0로 동정된 것은 3개, race 1은 2개, race 2는 2개였으며, race 1,2로 동정된 균주는 없었다. 이들 중 KACC 43207(race 0), GR(race 1), 그리고 KACC 43206(race 2) 균주를 선발하여 시판 중인 멜론 22개 품종의 이들 균주에 대한 저항성을 scalpel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실험한 모든 품종들은 3개 균주에 대하여 고도의 저항성 혹은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중도저항성을 나타낸 품종들은 없었다. 시판 품종중 3개 품종은 3가지 race 균주에 대하여 모두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으므로 저항성 유전자가 없는 일반 품종으로 동정되었다.나머지 품종들은 KACC 43207와 GR 균주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이고, KACC 43206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들 저항성 품종 중 단지 4개만이 저항성을 보이는 race에 대한 구명 없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으로 보고되었고, 나머지 15개 품종들은 일반품종으로 알려졌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시판 중인 멜론 품종의 대부분은 F. oxysporumf. sp. melonis race 0와 race 1에 대한 저항성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품종에는 덩굴쪼김병에 대한 단인자 우성유전자인 Fom-2가 도입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usarium wilt, caused by the fungus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is one of the mostimportant diseases in melon (Cucumis melo) cultivation and causes plant death and significant yieldlo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sistance of commercial melon cultivars to F. oxysporum f. sp. melonis. Based on pathogenicity of the fungus in 4 cultivars, ‘Charentais-T’,‘Charentais-Fom1’, ‘Charentais-Fom2’, and ‘MR-1’, race of seven isolates of F. oxysporum f. sp. melonis was determined. Among them, the number of race 0, race 1, and race 2 were 3, 2, and 2,respectively, but race 1,2 was not observed. KACC 43207 (race 0), GR (race 1), and KACC 43206(race 2)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By using scalpel inoculation method, resistance of 22commercial melo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to the three isolates. All tested cultivars showedhighly susceptible or resistant responses, whereas moderately resistant cultivar was not observed. Among them, three cultivars were highly susceptible to all fungal isolates. The other cultivarsshowed strong resistance to KACC 43207 and GR, but were severely susceptible to KACC 43206. Among the resistant cultivars, only four were previously reported as resistant to F. oxysporum f. sp. melonis without race determination and the other 15 cultivars were considered non-resistant. Takentogether, most of the resistant melon cultivars to Fusarium wilt were resistant to F. oxysporum f. sp. melonis races 0 and 1 in Korea. It is likely that these cultivars contain Fom-2, a single dominantresistance gene to F. oxysporum f. sp. melonis.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