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성요소와 한국형 모델 연구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문학, 노래 등 콘텐츠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다니는 ‘콘텐츠 투어리즘(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콘텐츠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보다 적극적인 향유 방식으로 표현되는 관광의 형태이다. 최근에는 그 영역이 아이돌이나 스타, 게임, 웹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와 관련된 장소들을 방문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콘텐츠 투어리즘의 개념과 흐름을 살펴보고, 국내에서의 실제적인 적용모델에 접근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기존 콘텐츠 투...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콘텐츠연구 no. 18; pp. 209 - 24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4.2020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2256 2671-7026 |
DOI | 10.34227/tjocc.2020..18.209 |
Cover
Summary: |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문학, 노래 등 콘텐츠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다니는 ‘콘텐츠 투어리즘(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콘텐츠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보다 적극적인 향유 방식으로 표현되는 관광의 형태이다. 최근에는 그 영역이 아이돌이나 스타, 게임, 웹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와 관련된 장소들을 방문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콘텐츠 투어리즘의 개념과 흐름을 살펴보고, 국내에서의 실제적인 적용모델에 접근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기존 콘텐츠 투어리즘의 다양한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콘텐츠 투어리즘에 대한 연구성과 및 관련 동향을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콘텐츠 투어리즘의 대상으로서 콘텐츠에 주목해야 함을강조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성요소를 콘텐츠적 요소와 관광적 요소로 구분하여 재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구조모델을 추출하여 콘텐츠 투어리즘이 갖는 기본 속성에 대해 살펴봤다. 특히, 관광의주체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접근해 온 기존 연구모델에 콘텐츠로서의 속성인 인물, 이야기, 장소라는 구성요소를 더해 이를 좀 더 다각적으로 접근해보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구조 모델이 현재 한국의 실정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이를 변형한 수용자 중심의 한국형 모델로 변형을 시도했고, 이를 근거로한국형 콘텐츠 투어리즘의 여러 유형들을 제시했다. Contents tourism, which looks for places that are the background of contents such as movies, dramas, animations, literature, and songs, is drawing attention. This is a form of tourism in which tourists' affection and interest in content are expressed in an active way of enjoyment. Recently, it has been expanding to visit various content-related places such as idols, stars, games, and webtoons for special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and flow of contents tourism and to approach practical application models in Korea.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various aspects of existing contents tourism. It also analyzed research results and related trends on contents tourism in Korea. In this process, we emphasized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content as an object of contents tourism.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mponents of contents tourism were reorganized by dividing them into contents elements and tourism elements. In addition, based on this, we extracted the relationship structure model between components and looked at the basic properties of contents tourism. In particular, we tried to approach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by adding elements such as characters, stories, and places, which are attributes as content, to the existing research model approached mainly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tourism. However, we pointed out that these basic structural models are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erefore, the company attempted to transform itself into a Korean model of contents tourism centered on the acceptor. And based on this, we presented several types of Korean contents tourism. KCI Citation Count: 9 |
---|---|
ISSN: | 2287-2256 2671-7026 |
DOI: | 10.34227/tjocc.2020..18.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