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산수(樂山水) 관념의 심미적 전환과 경물의 다정

산수나 산수 경물을 들어서 사람의 도덕적 자질을 빗대어 말하는 비유를 ‘비덕(比德)’이라고 이른다. 사물의 도덕적 의미를 참작하는 온갖 연상을 아예 떨쳐버리고 오로지 감각적 직관과 그 형상에서 흥취를 일으키고 또 오로지 그것을 흐뭇하게 즐기는 심미적 완상을 ‘창신(暢神)’이라고 이른다. 비덕에 치중하는 요산수는 산수를 산수로 마주하지 아니하고 반드시 도덕적 의미를 앞세워 비유의 수단을 삼았던 까닭에 자연미의 본질적 성분에 대한 갈망을 불렀다.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에 와서야 산수는 비로소 심미 활동의 감성적 근거로 작용하여 이로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40; no. 4; pp. 7 - 34
Main Author 김태환(Kim, Tae-h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학중앙연구원 0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1-8197
2733-936X
DOI10.25024/ksq.40.4.20171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산수나 산수 경물을 들어서 사람의 도덕적 자질을 빗대어 말하는 비유를 ‘비덕(比德)’이라고 이른다. 사물의 도덕적 의미를 참작하는 온갖 연상을 아예 떨쳐버리고 오로지 감각적 직관과 그 형상에서 흥취를 일으키고 또 오로지 그것을 흐뭇하게 즐기는 심미적 완상을 ‘창신(暢神)’이라고 이른다. 비덕에 치중하는 요산수는 산수를 산수로 마주하지 아니하고 반드시 도덕적 의미를 앞세워 비유의 수단을 삼았던 까닭에 자연미의 본질적 성분에 대한 갈망을 불렀다.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에 와서야 산수는 비로소 심미 활동의 감성적 근거로 작용하여 이로써 사람의 심성을 기르는 객관적 자원으로 존립할 수 있게 되었다.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는 산수 경물을 독립적인 심미 대상으로 간주하는 태도를 견지하는 점에서 종래의 요산수와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태도는 산수 경물에 대한 묘사가 감정에 관한 술회를 대신할 정도로 사물의 형상을 위주로 하는 화폭을 선호하고 흥취가 충만한 화의를 중시하는 미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요컨대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의 새로운 경향은 작품의 전면을 압도하는 산수 경물의 진보로 나타났다. 그것은 곧 자연과 자연미에 몰입하여 도취하는 동참자의 태도에 의하여 포착된 감각적 직관과 그 형상의 점진을 뜻한다. 예컨대 박순의 ‘돌길의 지팡이 소리를 자는 새가 듣는다.’는 지각의 주체와 그 대상이 어떠한 피차의 간격도 없이 마주쳐 하나를 이루는 물아동일(物我同一)의 정경을 그렸고, 이황의 ‘산굽이 고요한 때를 다만 저 물소리가 졸졸 울린다.’는 또한 내외미분(內外未分)의 경계에 베푸는 산인의 언어를 읊었다. 저물녘 땅거미에 울리는 저 물소리와 지팡이 소리에 메아리치는 저 새들의 낮은 지저귐은 대자연의 율동과 그 정신 면모를 온전히 드러낸 형신겸비(形神兼備)의 전형적 형상이다. 더없이 다정한 저들의 표정은 이로써 자연의 언어화에 도달한 예술적 창조의 최고 형식에 속한다. Moral analogy refers to comparing the moral qualities of a person to landscape or natural scenery. Aesthetic appreciation of things free from all kinds of associations with the moral meanings, which was referred to as making spirit pleased and free, arouses all kinds of interests from sensual intuition form and enjoys it exclusively. The loving for water and hills which focused on moral analogy did not view the landscape as solely landscape and made it as a means of the allegory with a moral meaning, but rouse up the longing for the essential part of natural beauty gave rise to. Only after reaching the loving for water and hills which is focused on making spirit pleased and free, landscape functioned as an emotional basis of aesthetic activity, thereby exist as an objective resource for cultivating human mind. In maintaining the attitude of viewing the landscape as an independent aesthetic object, the loving for water and hills which is focused on making spirit pleased and free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loving for water and hills. This attitude is derived from the aesthetic sense that emphasizes the mood of a painting full of interests and prefers the screen focused on natural things where the descriptions of natural scenery almost substitute the comments about emotions. In short, the new trend of the loving for water and hills concentrating on making spirit pleased and free wa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 of the natural scenery that overwhelms the front of works. It means the progression of the sensuous intuition and its shape captured by the attitude of the participant who is immersed in nature and natural beauty. For example, Soon Park’s verse, “The sleeping bird hears the sound of the cane sounding on the stone‒paved road.”, depicts the artistic imagery that subject of the perception and its object come together without any gap. And also, Hwang Lee’s verse, “When the mountain is still silent, only the sound of the stream resounds.”, foregrounds the language of the mountain-hermit on the aesthetic dimension which has no distinc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sounds of water in the dusk and the low whispers of those birds echoing in the sounds of a cane are the typical image based on the unity of form and spirit that reveals the rhythm of nature and its mental aspect. Their expressions with absolutely rich sentiments are the highest form of artistic creation that has reached the conversion of nature as a language. KCI Citation Count: 0
ISSN:2671-8197
2733-936X
DOI:10.25024/ksq.40.4.2017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