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K-MOOC의 사용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모델인 UTAUT2을 통해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K-MOOC 한 강좌의 수강생 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K-MOOC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평생학습사회 Vol. 13; no. 1; pp. 185 - 207
Main Authors 주영주(Joo, Young Ju), 김동심(Kim, Dongs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2.2017
미래원격교육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17.02.13.1.18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K-MOOC의 사용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모델인 UTAUT2을 통해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K-MOOC 한 강좌의 수강생 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K-MOOC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습관, 만족도 및 사용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상황 및 오락적 동기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노력기대, 오락적 동기, 습관 및 만족도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K-MOOC에서 수강생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상황, 오락적 동기 및 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하여 K-MOOC 수강생에게 제공한다면, K-MOOC의 높은 만족도와 지속적인 사용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habi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KOREA-MOOC based on UTAUT2. For this study, K-MOOC was chosen to conduct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17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K-MOOC class. A hypothetical model was composed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as exogenous variabl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hedonic motivation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habit,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MOOC. Also, satisfaction is important to enhance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propose strategies for successful K-MOOC. KCI Citation Count: 40
Bibliography:G704-SER000015054.2017.13.1.004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17.02.13.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