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장애를 가진 대상자들의 감각특성관련 연구 동향: 1994-2019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목적: 자폐성장애를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감각특성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일반적 동향과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선정과 제외기준을 통해 수집한 결과 34편이었다. 선정된 34편의 논문은 일반적 연구동향으로 연구년도, 연구유형, 연구대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중 중재연구인 24편은 중재대상, 연구도구, 중재환경, 중재성과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재대상은 1명 또는 3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성별비율은 남자가 높았다. 둘째,...
        Saved in:
      
    
          |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6; no. 1; pp. 75 - 101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4.2020
     특수교육연구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466-1872 2672-104X  | 
| DOI | 10.31863/JSE.2020.04.36.1.75 | 
Cover
| Summary: | 연구목적: 자폐성장애를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감각특성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일반적 동향과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선정과 제외기준을 통해 수집한 결과 34편이었다. 선정된 34편의 논문은 일반적 연구동향으로 연구년도, 연구유형, 연구대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중 중재연구인 24편은 중재대상, 연구도구, 중재환경, 중재성과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재대상은 1명 또는 3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성별비율은 남자가 높았다. 둘째, 중재대상의 기초선파악을 위한 검사실행여부 분석결과 검사를 실행하지 않은 경우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으며 시행검사도구 중 SSP(단축감각프로파일) 사용이 가장 많았다. 셋째, 중재환경과 관련해서는 대상자들에게 친숙한 환경, 감각통합치료실이 많았고, 중재자로는 작업치료사, 중재회기는 16~20회기가 가자 많았다. 실험설계로는 준실험설계의 빈도가 높았다. 넷째, 중재성과에서 종속변인별 다중응답결과 문제행동과 상동행동을 성과로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전략별로는 감각통합치료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감각별 중재영역에서는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 감각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후각, 시각, 청각, 미각등과 같은 감각의 중재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 결과에 따라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al trends and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os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 Thirty-five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1994 to 2019 throug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35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year, type of research and subject of research, and 24 of them, which is an intervention stud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intervention, research tools,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intervention performance. Result: The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studies showed that, firstly, the interventor was most likely to be one or three, with the gender ratio of the subject being high for men. Second, analysis of inspection execution for basic line break of arbitration targets also showed a high percentage of cases where inspection was not conducted, and the use of short sensory profile (SS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enforcement inspection tools. Third, there were many environment an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centers that were familiar to the subjects regarding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16 to 20 sessions of the intervention session were attended by researchers. Semi-experimental designs were more frequent as experimental designs. Fourth, multi-response results by 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that dealt with problem behavior and phase-by-phase behavior in the intervention performance, an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by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intervention area by sense, the ratio was high in the order of tactile,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ations, while the ratio of intervention of sensations such as olfactory, visual, auditory, and palate was low.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6 | 
|---|---|
| ISSN: | 2466-1872 2672-104X  | 
| DOI: | 10.31863/JSE.2020.04.36.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