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호흡의 호흡그룹 특성에 대한 문헌 연구
목적: 구어호흡 연구는 말장애의 호흡 문제를 평가하고 중재하는 데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국내외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연구에 관한 경향을 검토하여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40편을 선정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 연구 화자 집단,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에 따른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편의 연구 중 국외 연구는 31편(77.5%)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국내 연구는 9편이 지금까지 연구되었다. 정상 화자 집단의 연령 및 성...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4; no. 4; pp. 193 - 20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5.24.4.018 |
Cover
Summary: | 목적: 구어호흡 연구는 말장애의 호흡 문제를 평가하고 중재하는 데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국내외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연구에 관한 경향을 검토하여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40편을 선정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 연구 화자 집단,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에 따른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편의 연구 중 국외 연구는 31편(77.5%)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국내 연구는 9편이 지금까지 연구되었다. 정상 화자 집단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연구 분포를 분석하였을 때, 정상 성인 여성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7회(32.1%)로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년의 남성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회(9.4%)로 낮게 나타났다. 마비말장애와 음성장애는 전체 말장애 연구는 각각 6회(46.2%)로 비슷한 연구 분포를 나타내었다.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연구에서 사용된 발화 과제는 읽기가 22회인 40.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자발화(17회31.5%), 대화(6회, 11.1%), 노래(1회, 1.9%) 순으로 분석되었다. 호흡그룹 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흡기 및 호기 지속시간과 분당음절수, 호흡그룹당음절수를 측정 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전체의 52.2%를 차지하였다. 호흡기관의 용적과 관련된 측정 변인은 45.7%, 음향학적 측정 종속 변인은 2.2%로 분석되었다. 결론: 구어호흡의 호흡그룹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위해서는 운동학적 측정 장비의 보완이 요구되고, 다양한 발화 과제를 말장애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영유아 및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국외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특성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Research on speech breathing has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peech breathing disord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search tendency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papers on breath group in speech breathing. The aim of this integrative review was to suggest a follow-up study. Methods: Total of 40 papers we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subject groups, an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Research on breath groups in speech breathing represented 31 international papers (77.5%) and 9 domestic papers (22.5%).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speech breathing according to age and gender in normal speaker group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most studies were normal adult females (17 papers, 32.1%). The elderly male adult group showed a low distribution (four papers, 7.5%). Dysarthria and voice disorders papers showed similar distribution frequencies (6 papers, 46.2%). Speech tasks were used as follows: reading (22 papers, 40.7%), spontaneous speech (17 papers, 31.5%), conversation (six papers, 11.1%), singing (one paper, 1.9%). Fifty-two-point-two pecent of papers focused on breath group units, including duration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syllables per second, and syllables per breath group. The existing research indicated that related-volume variables studies were 45.7% and related-acoustic variables 2.2%. Conclusions: More exploratory research is needed to use kinematic devices. Speech disorder groups should be investigated using more diverse speech tasks. A research study is need to include infant and adult male subject group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using Korean language based on international research finding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5.24.4.013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5.24.4.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