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본 연구는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생교육 기관에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변인들 사이의 경로계수와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 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평생학습사회 Vol. 17; no. 1; pp. 147 - 172
Main Authors 이경란(Kyungran Lee), 박지혜(Jihy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2.2021
미래원격교육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1.2.17.1.14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생교육 기관에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변인들 사이의 경로계수와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시대에 맞춰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형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긍정심리자본을 향상하는 것과 더불어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을 탐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arious implications for promoting successful aging by examining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by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older adult learners. The subjects were those aged 65 or older who had continu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nally, 289 cases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was examin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path coefficients in order to determin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y capital directly affected successful ag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ly affected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study immersion of older adult learners in time for the lifelong learning era and promoting successful aging through lifelong learning.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data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aging of elder adults. KCI Citation Count: 7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1.2.17.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