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위회귀분석 적용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수준별로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환자안전관리실천 도구와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된 측정도구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관리실천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4...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6; no. 3; pp. 230 - 240
Main Authors 강명숙(Kang, Myungsuk), 장연수(Jang, Yeonsoo), 송의림(Song Ui R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간호행정학회 01.06.2020
간호행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330
2288-4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수준별로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환자안전관리실천 도구와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된 측정도구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관리실천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4.09±0.44 점이었다. 다중회귀분석 시, 환자안전관리 교육,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행동 의도가 영향요인이었다. 반면, 분위회귀분석 시, 상급종합병원 임상실습(75% 분위), 환자안전관리 교육(50%와 90% 분위), 주관적 규범(75% 분위), 지각된 행동 통제력(50%와 75% 분위), 행동 의도(50% 분위)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실천 수준별로 영향요인은 각각 다르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환자안전관리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실천 수준별 영향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SMA)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evels of PSMA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35 nursing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SMA scale and modified version of the TBP-bas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quanti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PSMA was 4.09±0.44 out of 5 points.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patient safety education,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quantile regression, place of clinical practice (in 75%), patient safety education (in 50% and 90%), subjective norm (in 75%),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50% and 75%) and intention (in 50%) were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We confirmed the dynamic influences of all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SMA. It is proposed that the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SMA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effective programs to enhance PSMA among nursing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