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 품종과 재배지역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
본 연구에서는 오디의 대표 기능 성분인 안토시아닌 함량 분석을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다음 품종 및 지역별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통해 C3G와 C3R의 피크가 근접 피크와의 간섭없이 분리되어 높은 직선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0.40, 0.20 μg/ mL, 정량한계는 각각 1.21, 0.60 μg/mL로 나타났다. 또한 일내 및 일간 정밀성 분석 결과 상대표준편차 값이 5% 이내로 양호하였으며, C3G와 C3R의 회수율은 각각 96.51~ 98.87% 및 95.73~98.91% 범위로...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3; pp. 289 - 294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3.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3.289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오디의 대표 기능 성분인 안토시아닌 함량 분석을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다음 품종 및 지역별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통해 C3G와 C3R의 피크가 근접 피크와의 간섭없이 분리되어 높은 직선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0.40, 0.20 μg/ mL, 정량한계는 각각 1.21, 0.60 μg/mL로 나타났다. 또한 일내 및 일간 정밀성 분석 결과 상대표준편차 값이 5% 이내로 양호하였으며, C3G와 C3R의 회수율은 각각 96.51~ 98.87% 및 95.73~98.91% 범위로 양호한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오디의 주요 안토시아닌으로는 C3G와 C3R로 확인되었다. 품종별 C3G와 C3R의 함량은 각각 226.90~843.34 mg/100 g 및 141.00~508.81 mg/100 g 범위로 나타났고 심강, 과상2호, 익수뽕 품종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재배지역별 고창과 부안에서 C3G 평균 함량은 395.08 mg/100 g 및 380.87 mg/100 g이고, C3R 평균 함량은 282.30 mg/100 g 및 268.82 mg/100 g의 함량을 나타냈다. 지역간 안토시아닌 함량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국내 오디 품종이나 지역별 안토시아닌 함량에 대한 연구 진행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오디 기능성 식품 연구와 안토시아닌 함량 증진 개발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 analytical method for assessing the anthocyanin content in mulberry. The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method was valid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guidelines for analytical procedures with respect to specificity, precision, accuracy, and linear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cyanidin-3-glucoside (C3G) and cyanidin-3-rutinoside (C3R) were 1,000 and 0.999 respectively, and 0.20 and 0.60 μg/mL respectively for C3R. The analysis of the anthocyanin content of mulberry cultivars showed that, Simkang had the highest levels of C3G and C3R, followed by the upper Gwasang2.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Gwasang2 variety because of its large fruit size and high Brix content. An analysis of the two regional (Buan, Gochang) varieties of Gwasang2 showed that, the anthocyanin content was different for each cultivation are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content.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3.2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