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에 미치는 효과

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관광지의 그림 등 상징화된 기호 언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기호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징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고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상징기호 중에서 픽토그램은 간결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추상적인 기호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4; no. 4; pp. 71 - 81
Main Authors 박연수(Yeon Su Park), 박은실(Eun Sil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4.007

Cover

Abstract 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관광지의 그림 등 상징화된 기호 언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기호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징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고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상징기호 중에서 픽토그램은 간결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추상적인 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픽토그램으로 구성된 언어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4명으로, 아동의 상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으로 영역을 나누어 사전 ․ 사후 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상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들이 중재를 받음으로써 상징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는 픽토그램도 다양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픽토그램이 일상적이고 친숙한 상황과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As our modern generation's standard of living and its culture are developing, it is easy to encounter media that represent symbolic language like signs which represents buildings, traffic signs, graphic pictures on a billboard, and pictures of tourist sites. To be able to understand symbolic language and effectively delivers one's intention, one would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s which visual images re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was effective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 pre-post design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study on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symbol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areas: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an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Results: First,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the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Second,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Thir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KCI Citation Count: 6
AbstractList 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관광지의 그림 등 상징화된 기호 언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기호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징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고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상징기호 중에서 픽토그램은 간결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추상적인 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픽토그램으로 구성된 언어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4명으로, 아동의 상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으로 영역을 나누어 사전 ․ 사후 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상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들이 중재를 받음으로써 상징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는 픽토그램도 다양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픽토그램이 일상적이고 친숙한 상황과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As our modern generation's standard of living and its culture are developing, it is easy to encounter media that represent symbolic language like signs which represents buildings, traffic signs, graphic pictures on a billboard, and pictures of tourist sites. To be able to understand symbolic language and effectively delivers one's intention, one would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s which visual images re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was effective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 pre-post design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study on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symbol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areas: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an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Results: First,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the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Second,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Thir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KCI Citation Count: 6
Author 박은실(Eun Sil Park)
박연수(Yeon Su Par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연수(Yeon Su Park)
– sequence: 2
  fullname: 박은실(Eun Sil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307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z9Lw0Achg-pYK1-A4csDg6J-V3ucslY6r9CUZAObuHSXDRaU0lxcFMUhy4qGrSiJUNLFQQFByvoF0ou38GiTs87PDzwTqNC2AoFQnOga0AZJou77eaOp2EdqIaJRjRdZxOoiE0GKgNqFVARMDZVarGtKTTbbgeuTggjlFEoop385js_T9KPUdZ7ko9nSt59kPfPefygyP6V7L2kb8dKHnez5DMdvSlyeCyTE9kbyDhRZHyWXXSz6758vFPk6YkcxllnkCUDeXupZK8j-XmXdW6U_P4pff-aQZM-b7bF7D9LqL6yXK-sqbWN1WqlXFNDk4BqNXxuWwwLDxNuY858FwQ2TMaozQQ0KOU6EE_4WAjXNU1umBzAEGz8xgbmGiW08JcNI9_ZawROiwe_3G45e5FT3qxXHcCGoVMYu_P_7mEU7Asv4M7BePDoyFnfWFrWGcXATDB-AGzei3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15724/jslhd.2015.24.4.007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Pictograms on The Ability to Recognize Symbo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ocumentTitle_FL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Pictograms on The Ability to Recognize Symbo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ISSN 2671-7158
EndPage 8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33051
NODE0752176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1-8cfa9872ed24a92a7fb1e23677597e1c55a014def2eebb66a36a113e7575917b3
ISSN 1226-587X
IngestDate Tue Nov 21 21:43:18 EST 2023
Thu Feb 06 13:15:13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지적장애
Pictogram
intellectual disabilities
픽토그램
상징능력
symbols abilit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1-8cfa9872ed24a92a7fb1e23677597e1c55a014def2eebb66a36a113e7575917b3
Notes G704-000939.2015.24.4.004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33051
nurimedia_primary_NODE0752176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2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5
  text: 2015-12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언어치료연구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언어치료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언어치료학회
SSID ssib044745751
ssib001106864
Score 1.5909369
Snippet 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71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에 미치는 효과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2176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3070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언어치료연구, 2015, 24(4), , pp.71-8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715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751
  issn: 1226-587X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T9RAtEE86MVo1IgfpDHOaVPcaaedmWN3twRNQA-Y4GnT7nYFIYtB9uLBQCQeuKiRjUCA7AECJiZiPAiJ_qFt9z_43rRbFrOJ6KX78ua9NzPvbee9mc7M07R7FuaRFNw3WK3qwIOZRuAElgFTg6pdreSrXH3RHZ9wxp6wh1P21MC5bz27lhqLwUjlVd9zJf9jVcCBXfGU7D9YNhMKCIDBvvAEC8PzTDYmXolIRgolBIRD3DzxXFLgpCCIVyDSIy4ARSKhlOUUtSSyqFAucaXC2IDJIcplRFJVBnxFJSlPRD7XpZIoE6ooSFUmoDjh47hdAgEgzwTYCrABmUshwVCAGE0lSQtrTFonhSISVioARAIDUrtKkqo3FQlFKBJQo6qfRWyQFCm1TPvpqq5DMy2SJu9-3tUZyHBSTgTYKREuNKGY1lNI1Al9yJaSkQTQ0u4hgXYL5DbF0xBH30busdqALvszlVJtiQL23xReA3hm5k4xpcsw1P5jS0tmsG7DSmfrTmZApRlR7HFFEBgb8BpNJZ5a4UyHU4PT5LL7rv9KzqCn7ynrcUZJbptuWEP7Okybmww95su5abw3l9ojJhtRF8qfBAjZts2JRyUPQkyYxeKCw3mTOw4mDRl_7Z1E4BTPHGVDPGOc4Zc9XPbo9ic9wIo13-9TLwR59QWIDS_UG5jgAkbJnoBv8rJ2KZ2p6W7y2l3RBmbnr2rTnbVfnbet9o-jaOcg3l7ROxtb8ebnTnNLj3c_xDtf2odLeqe5EbWO20eHery_FLeW4529uNnS4-ZK9G4j-rgbb6_r8ZvleL8Zre5Frb3403s9-noUH69Hq2t6Z_Og_f3nNW1y1JssjhlpshKj7jBqiErNl4KbYdVkvjR9XgtoiLcjcpixh7Ri236esmpYM8MwCBzHtxyfUivkmCCX8sC6rg3W5-vhDU33HdsKqhRE2ZKFUooajrM10KQT8goTQ9pdUFB5tjJTxrvh8ffZfHl2oQwz4AdliETBhdMhbTjTX_lFcnFNudd-N_9GcEu7ePI_v60NLi40wjsQgC8Gw8rkvwGQ17g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4%BD%ED%86%A0%EA%B7%B8%EB%9E%A8%EC%9D%84+%ED%99%9C%EC%9A%A9%ED%95%9C+%EC%A4%91%EC%9E%AC%EA%B0%80+%ED%95%99%EB%A0%B9%EA%B8%B0+%EC%A7%80%EC%A0%81%EC%9E%A5%EC%95%A0+%EC%95%84%EB%8F%99%EB%93%A4%EC%9D%98+%EC%83%81%EC%A7%95%EB%8A%A5%EB%A0%A5%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rft.jtitle=%EC%96%B8%EC%96%B4%EC%B9%98%EB%A3%8C%EC%97%B0%EA%B5%AC&rft.au=%EB%B0%95%EC%97%B0%EC%88%98%28Yeon+Su+Park%29&rft.au=%EB%B0%95%EC%9D%80%EC%8B%A4%28Eun+Sil+Park%29&rft.date=2015-12-01&rft.pub=%ED%95%9C%EA%B5%AD%EC%96%B8%EC%96%B4%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6-587X&rft.eissn=2671-7158&rft.volume=24&rft.issue=4&rft.spage=71&rft.epage=81&rft_id=info:doi/10.15724%2Fjslhd.2015.24.4.007&rft.externalDocID=NODE0752176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587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