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에 미치는 효과

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관광지의 그림 등 상징화된 기호 언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기호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징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고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상징기호 중에서 픽토그램은 간결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추상적인 기호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4; no. 4; pp. 71 - 81
Main Authors 박연수(Yeon Su Park), 박은실(Eun Sil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4.0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요즘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문화가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대두되고 있는 매체 중 하나로 건물을 나타내는 기호, 교통 표지판, 간판의 그래픽 그림, 관광지의 그림 등 상징화된 기호 언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기호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징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보고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상징기호 중에서 픽토그램은 간결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추상적인 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픽토그램으로 구성된 언어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4명으로, 아동의 상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으로 영역을 나누어 사전 ․ 사후 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상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그림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이해력, 상황 상징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픽토그램을 활용한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들이 중재를 받음으로써 상징기호를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는 픽토그램도 다양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픽토그램이 일상적이고 친숙한 상황과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지적장애 아동들의 상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As our modern generation's standard of living and its culture are developing, it is easy to encounter media that represent symbolic language like signs which represents buildings, traffic signs, graphic pictures on a billboard, and pictures of tourist sites. To be able to understand symbolic language and effectively delivers one's intention, one would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s which visual images re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was effective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 pre-post design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study on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symbol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areas: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an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Results: First, the ability to comprehend pictori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the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Second, the ability to comprehend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Third, the ability to express situational symbols improved in post-evaluation over pre-evaluation for all study sub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vention utilizing pict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symbols.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939.2015.24.4.004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4.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