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녹차의 카테킨 함량
녹차의 성분은 폴리페놀, 알칼로이드, 아미노산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카테킨과 카페인의 함량은 녹차의 품질 평가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녹차의 지표성분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및 카페인을 동시 분석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으로는 25% 에탄올을 이용하여 온도 25 °C, 1시간 추출하였고, UPLC를 이용한...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8; pp. 857 - 862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8.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8.857 |
Cover
Summary: | 녹차의 성분은 폴리페놀, 알칼로이드, 아미노산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카테킨과 카페인의 함량은 녹차의 품질 평가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녹차의 지표성분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및 카페인을 동시 분석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으로는 25% 에탄올을 이용하여 온도 25 °C, 1시간 추출하였고, UPLC를 이용한 빠르고 간편한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특이성 등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지역별로 녹차 잎을 추출하여 UPLC로 카테킨 화합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카테킨의 함량(mg /g, 건조 중량)은 제주도 168.87 mg/g> 경상남도 156.75 mg/g> 전라남도 148.22 mg/g 순으로 존재하였고 약 7.3~ 26.1 mg/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 지역별 생육환경에 따라 함량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역별 품질관리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재배되는 녹차의 품질평가에 대한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is complex and includes polyphenols, alkaloids, amino acids, and other unidentified compounds. The contents of catechins and caffeine are considered a standard of green tea quality evaluation. In this study, an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ive marker constituents in green tea;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caffeine. Reversed-phase UPLC analysis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individual catechins and caffeine in teas extracted with 25% (v/v) aqueous ethanol. Content (mg/g, dry weight) of tea catechi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Jeju-do 168.9 mg/g> Gyeongsangnam-do 156.8 mg/g> Jeollanam-do 148.2 mg/g. Based on their dry weights, the green teas contained 7.3 to 26.1 mg/g of caffeine.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green tea.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8.8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