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에이전트의 이주 신뢰성 보장을 위한 경량화 및 이주 최적화 알고리즘

이동성 객체인 이동에이전트는 이주 시 주어진 작업처리 명령들과 작업수행 결과 탑재에 의한크기 증가로 인하여 네트워크의 부하를 유발함으로써 이주시간 지연 및 이주 신뢰성을 훼손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객체 기술을 이용한 이동에이전트의 경량화 방법과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 시능동적으로 최적의 이주경로를 탐색 및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에이전트 이주 시 이들을적용함으로써 이동에이전트의 이주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 이동에이전트 미들웨어 환경에서 능동규칙 탑재 이동에이전트의 이주시간에 대한 에이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5; no. 5; pp. 91 - 98
Main Author 이연식(Yon-Si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5.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0.25.05.09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동성 객체인 이동에이전트는 이주 시 주어진 작업처리 명령들과 작업수행 결과 탑재에 의한크기 증가로 인하여 네트워크의 부하를 유발함으로써 이주시간 지연 및 이주 신뢰성을 훼손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객체 기술을 이용한 이동에이전트의 경량화 방법과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 시능동적으로 최적의 이주경로를 탐색 및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에이전트 이주 시 이들을적용함으로써 이동에이전트의 이주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 이동에이전트 미들웨어 환경에서 능동규칙 탑재 이동에이전트의 이주시간에 대한 에이전트의크기와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에 따른 비교 및 분석 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법 적용 시 이동에이전트의 자율성과 이주 신뢰성이 보장됨을 입증한다. The mobile agent, which handles a given task while migrating between the sensor nodes, moves including the execution commands and task processing results. This increases the size of the mobile agent, causing the network to load, leading to the migration time delay and the loss of migration reliability.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lightening the mobile agent using distributed object technology and the algorithm for exploring and providing the optimal migration path that is actively performed in the event of network traffic, and it proposes a metho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mobile agent migration by applying them. In addi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experiments based on agent size and network traffic for the migration time of mobile agent equipped with active rules in sensor network-based mobile agent middleware environment, applying the proposed methods proves to ensure the autonomy and migration reliability of the mobile agent.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0.25.0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