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메타구문 능력

본 연구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청력 아동군과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의 메타구문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연령을 통제하기 위하여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와 말지각 검사, 자발화의 조사표현 출현 및 오류율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메타구문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언어조건만 제시한 경우와 언어조건과 그림조건을 함께 제시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조건을 나눈 이유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이 상황적인 단서에 더 의존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장치였다. 연구결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8; no. 2; pp. 105 - 122
Main Authors 윤정선(Jeung-Sun Yoon), 최예린(Yaeli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6.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2.0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청력 아동군과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의 메타구문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연령을 통제하기 위하여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와 말지각 검사, 자발화의 조사표현 출현 및 오류율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메타구문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언어조건만 제시한 경우와 언어조건과 그림조건을 함께 제시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조건을 나눈 이유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이 상황적인 단서에 더 의존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장치였다. 연구결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인공와우 이식 아동군과 정상청력 아동군의 메타언어능력에는 차이가 없었고, 인공와우 이식 아동은 언어조건만 제시하였을 때 보다 언어조건과 그림조건을 함께 제시한 경우 메타구문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런 결과는 정상청력 아동군도 언어조건만 제시하였을 때 보다 언어조건과 그림조건을 함께 제시하였을 때 메타구문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각 집단의 메타구문 능력의 향상정도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메타구문 능력에 있어 상황적인 단서나 그림조건이 인공와우 이식 아동뿐만 아니라 정상청력 아동에게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현장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메타구문 능력 향상에 상황적 단서나 그림이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ta-syntax ability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bility and children with cochlea implants in the same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To execute this study, tests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language perceptibility, presence of voluntary expressions of auxiliary words, errors, and the comprehension of the meaning of syntaxes of a group of children with cochlea implants.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then compared to the results gathered from a group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to match the language conditions of the two groups. Then, a review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a-syntax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children with cochlea implan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affected more by situational clues or visual conditions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hile implementing meta-syntax tasks. Also, the study measured if both groups showed improved meta-syntax ability when language conditions and visual conditions were presented together rather than when only language conditions were present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talinguistic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children with cochlea implants showed improved meta-syntax ability when both language conditions and visual conditions were presented rather than when only language conditions were presented, (3) it wa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ssues of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eta-syntax ability of cochlea implants.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939.2009.18.2.005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