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검정법을 활용한 경북 지역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발생 현황
본 연구는 2017, 2018년 11월부터 4월까지 경북지역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수행되었다. 경북지역 내 22개 시·군 총 269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피리미노박메틸·이마조설퓨론 합제를 처리 후 생존개체를 조사하여 저항성률을 판단하였다. 경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비율은 39.7%로 발생 면적은 39,555 ha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검정법으로 수행한 2012년 연구결과에 비해 5년 사이에 발생 비율은 23.8%, 발생면적은 17,532 ha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
Saved in: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Vol. 8; no. 4; pp. 289 - 29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12.2019
한국잔디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4.28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2017, 2018년 11월부터 4월까지 경북지역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수행되었다. 경북지역 내 22개 시·군 총 269지점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피리미노박메틸·이마조설퓨론 합제를 처리 후 생존개체를 조사하여 저항성률을 판단하였다. 경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비율은 39.7%로 발생 면적은 39,555 ha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검정법으로 수행한 2012년 연구결과에 비해 5년 사이에 발생 비율은 23.8%, 발생면적은 17,532 ha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군별 저항성 논잡초 발생 비율은 영주시와 청송군이 66.7%로 가장 높았고 청도군은 5.6%로 가장 낮았다. 발생 면적은 상주시가 6,090 ha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고, 발생 비율과 비슷한 양상으로 청도군이 135 ha으로 가장 낮았다. 경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초종은 물달개비26.9%, 올챙이고랭이 14.5% 및 미국외풀 12.1% 순으로 각각 발생 면적이 28,950 ha, 14,520 ha 및 10,384 ha 이었다.
3초종은 경북지역 내 모든 지역에서 ALS 저해제 제초제에 저항성이 높아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cetolactate synthase (ALS)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weeds on paddy at 269 sites by soil sampling in Gyeongsangbuk-Do of Republic of Korea from November to April in 2017 and 2018.
Pyriminobac-methyl and imazosulfuron were treated at 5 days after irrigation and herbicide resistant rate and occurrence area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survived weeds.
The herbicide resistant rate and occurrence area were 39.7% and 39,555 ha, respectively, in Gyeongsangbuk-Do which was 2 to 2.5 times higher than those in 5 years ago. The herbicide resistant rate for Yeongju city and Cheongsong county was commonly highest at 66.7%, Cheongdo county was lowest at 5.6%. The herbicide resistant occurrence area for Sangju city had the largest at 6,090 ha, Cheongdo county was the lowest at 135 ha.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was Monochoria vaginalis (26.9%), followed by Schoenoplectiella juncoides (14.5%), Lindernia dubia (12.1%), Echinochloa oryzicola (2.8%), Cyperus difformis (1.7%), and Blyxa aubertii (0.8%).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occurrence rate of resistant weed species to and ALS inhibiting herbicide among area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M. vaginalis, S. juncoides, and L. dubia are more than 50% resistant to ALS inhibiting herbicides,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4.2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