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데시칸트 환기설비의 기간 효율 평가 방법 제안

본 연구에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연간 제습잠열부하 분석이 실시되었고 냉방기간에 대한 부분부하율의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분석 결과 단위면적당 제습잠열부하의 최대치는 중부 1지역 23.3 W/㎡, 중부 2지역 28.1 W/㎡, 남부지역 28.7 W/㎡, 제주 지역의 경우 24.9 W/㎡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4개지역 평균은 26.3 W/㎡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2) 국내 잠열제습부하의 출현빈도는 부분부하율 50%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0.3~21.5%...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설비공학 논문집, 33(6) Vol. 33; no. 6; pp. 293 - 299
Main Authors 박선효(Sun Hyo Park), 안병욱(Byung Wook Ahn), 정용호(Yong Ho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설비공학회 01.06.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6422
2465-7611
DOI10.6110/KJACR.2021.33.6.2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연간 제습잠열부하 분석이 실시되었고 냉방기간에 대한 부분부하율의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분석 결과 단위면적당 제습잠열부하의 최대치는 중부 1지역 23.3 W/㎡, 중부 2지역 28.1 W/㎡, 남부지역 28.7 W/㎡, 제주 지역의 경우 24.9 W/㎡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4개지역 평균은 26.3 W/㎡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2) 국내 잠열제습부하의 출현빈도는 부분부하율 50%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0.3~21.5%의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3) 기존 평가방법인 IEER의 경우 부분부하율 75% 범위에서의 차이는 40.5~52.4%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적정 평가방안의 분석이 필요하다. (4) 기간효율의 측정을 위해 장기간 실제 측정하는 절차를 대신하여 25%, 50%, 75%, 100%의 부분부하 상황에서 측정된 효율 결과에 가중계수를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demand for dehumidification devices in summer has rapidly increased in Korea due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is no method to evaluate the periodic efficiency of the gesture system.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IEER plan requires a weighted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domestic weather conditions. In this study, a method of evaluating the cooling period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ventilation systems was proposed for desiccant dehumidification ventilation devices used in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of four regions with dehumidifying latent heat loads per unit area was 26.3 W/m2.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latent heat dehumidification loads in Korea was very low, within the range exceeding partial load rate of 50%. IEER, which are existing evaluation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difference in the portion of the partial load rate of 75% was particularly large, therefore suggesting that an analysis of th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is required. In order to measure period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apply a weighted coefficient to the measured efficiency results under partial loads of 25%, 50%, 75%, and 100%, instead of the actual measurement proced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ournal.auric.kr/kjacr
ISSN:1229-6422
2465-7611
DOI:10.6110/KJACR.2021.33.6.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