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투약오류를 중심으로

목적: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학부 간호교육 중에 중요한 전문역량이다. 예방 가능한 투약 오류의 발생을 줄이려면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과 의료인의 협력의 중요성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투약과정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예방 가능한 투약오류를 가르치고 간호관리 교과과정에서 간호사, 의사, 약사 및 간호관리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디자인에는 두 가지 시나리오 생성이 포함되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7; no. 2; pp. 107 - 117
Main Authors 유미(Yu, Mi), 김은영(Kim, Eun-Young), 김종경(Kim, Jong Kyung), 이영진(Lee, Young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간호행정학회 01.03.2021
간호행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330
2288-4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학부 간호교육 중에 중요한 전문역량이다. 예방 가능한 투약 오류의 발생을 줄이려면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과 의료인의 협력의 중요성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투약과정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예방 가능한 투약오류를 가르치고 간호관리 교과과정에서 간호사, 의사, 약사 및 간호관리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디자인에는 두 가지 시나리오 생성이 포함되었다. 연구팀의 3차례 합의과정을 통하여 가이드라인 기반 시나리오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고충실도 환자 시뮬레이터 또는 표준화 환자를 사용하는 두 가지 임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환자 식별 및 이력과 관련된 투약오류 해결 및 안전사고 보고'와 '약 처방과 조제 및 안전사고 보고와 관련된 투약 오류 해결'을 다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두 가지 시나리오는 투약오류와 관련하여 학부 간호관리학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병원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 관련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Ensuring patient safety is an essential professional competency that is conceptualized and developed during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preventable medication errors, it is critical to learn how errors are made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healthcare workers.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related to the medication process and improv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on teaching preventable medication errors and communication among nurses, doctors, pharmacists and nurse managers in the nursing management curriculum of colleges of nursing. The design included creation of two scenarios. Guideline-based scenarios were verified by nursing experts using the three-round Delphi method. Results: The two scenarios using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s or standard patients address ‘resolving medication errors related to patients’ identification and history, and reporting safety incidents’ and ‘resolving medication errors related to medication prescription and dispensing, and reporting safety incidents’. Conclusion: This simulation program supports practical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management course and novice nurses in patient safety-related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11111/jkana.2021.27.2.107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