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북부지역 재배 콩나물 콩의 파종시기에 따른 품질 및 이화학 특성
콩나물 콩의 생산지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콩나물 콩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콩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5.45~6.49, 5.19~6.24, 15.62~ 19.06, 33.32~40.53 및 32.46~38.04 g/100 g으로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나물 콩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각각 57.20~67.01, 0.72~7.56 및 20.43~28.59로 나타났고,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은 각각 7...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12; pp. 1301 - 1311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12.1301 |
Cover
Summary: | 콩나물 콩의 생산지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콩나물 콩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콩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5.45~6.49, 5.19~6.24, 15.62~ 19.06, 33.32~40.53 및 32.46~38.04 g/100 g으로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나물 콩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각각 57.20~67.01, 0.72~7.56 및 20.43~28.59로 나타났고,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은 각각 73.28~149.15, 41.83~55.33 및 26.88~35.90%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나물 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차, 2차 및 3차 파종한 시료에서 각각 7.75~10.89, 7.26~11.82 및 8.48~11.05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44~5.33, 4.43~4.86 및 4.37~4.78 mg CE/ g으로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0.60~2.10, 0.85~1.95 및 0.56~2.18 mg TE/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6.45~11.24, 6.42~9.15 및 6.14~9.56 mg TE/g으로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페놀 성분은 풍산나물콩, 소명콩, 호서 품종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풍산나물콩, 소진, 호서, 해원 품종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풍원, 소강, 소백, 서남, 조양1호, 한남콩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달라지므로 재배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알맞은 품종과 적정 파종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sprout-soybean cultivar cultivated in the north-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with different seeding periods wer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chromaticity, and water characteristics differ significantly among cultivars and different seeding periods. The moisture, crude ash, fat,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sprout-soybean cultivar were 5.45∼6.49, 5.19∼6.24, 15.62∼19.06, 33.32∼40.53, and 32.46∼38.04 g/100 g, respectively.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57.20∼67.01, 0.72∼7.56, and 20.43∼28.59, and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ter solubility index, and swelling power were 73.28∼149.15, 41.83∼55.33, and 26.88∼35.90%,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1st, 2nd, and 3rd seeding on the sprout-soybean cultivar were 7.75∼10.89, 7.26∼11.82, and 8.48∼11.05 mg gallic acid equivalents/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4.44∼5.33, 4.43∼4.86, and 4.37∼4.78 mg catechin equivalents/g, respectively.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0.60∼2.10, 0.85∼1.95, and 0.56∼2.18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g, and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6.45∼11.24, 6.42∼9.15, and 6.14∼9.56 mg TE/g, respectively. The phenol compound of Pungsannamul, Somyeongkong, and Hoseo cultivars decreased with the delay of the seeding period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ungsannamul, Sojin, Hoseo, and Haewon cultivars decreased with the delay of seeding periods, but the Pungwon, Sokang, Sobaek, Sunam, Joyang 1, and Hannamkong cultivars increased. In the study, the phenol compoun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rout-soybean cultivar differed according to the cultivars and seeding periods. KCI Citation Count: 3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12.1301 |